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콕샤로프카 유적의 식물유체로 본 발해와 한반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Balhae and the Korean peninsula with respect to seed remains collected from Koksharovka site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5.09
44P 미리보기
콕샤로프카 유적의 식물유체로 본 발해와 한반도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28호 / 239 ~ 282페이지
    · 저자명 : 스토야킨 막심

    초록

    이 글에서는 러시아 연해주지역에서 발견된 중세 초기의 발해 콕샤로프카 유적들과 그 곳에서 출토된 식물자료를 통해 유적의 성격을 살펴보았다. 또한 발해와 고구려 유적의 식물자료 현황을 살펴보고 각 문화의 식물 구성과 농사 기준에 대해 설명한 뒤 이 지역과 한반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발해유적에서는 다양한 작물이 발견되어 농업생산이 높은 수준에 이르렀음을 보여준다. 특히 연해주지역에서는 잡곡류가 우세하고 그 다음으로는 맥류가 많은데 유적에 따라 작물의 출현빈도에는 차이가 있다. 콕샤로프카-1 평지성에서도 잡곡류가 우세하지만 발견된 작물 종류가 발해유적에서만큼 다양하지 않아 특이한 성격의 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콕샤로프카-8 무덤 유적에서도 잡곡류가 주로 발견되고 출토유물의 성격이 비슷하기 때문에 같은 인구 구성을 가지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콕샤로프카-8 무덤 유적에서는 탄화된 음식이 확인되어 이 유적이 제단 역할을 했고 아무르지역에서 널리 행해진 2차장 제례 방식과 유사함을 보여준다. 연해주와 한반도 남쪽의 고분에서도 제례에 식물을 사용했고 각 문화마다 이용한 식물의 종류는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반도와 달리 연해주에서는 쌀 문화가 없다는 것이 큰 차이이다.
    고구려 유적에서도 다양한 식물자료가 확인되었고 우세한 작물은 쌀과 조이다. 고구려와 달리 백제, 가야, 신라 유적에서는 쌀, 밀, 보리, 복숭아 및 야생 식물이 많이 발견되는데 이는 환경 조건의 차이와 더불어 삼국의 문화 차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삼국의 유적에서 복숭아가 많이 발견되는 것은 이 시기에 불교(이후 도교)가 널리 도입되어 신앙행위에 사용되었을 개연성이 있다.
    연해주 발해유적과 말갈유적 그리고 고구려 유적에서 출토된 식물자료를 조사한 결과 식물구성(음식문화)에서 발해와 고구려는 큰 차이를 보이고, 발해와 말갈은 서로 유사한 점이 많아 발해가 다민족 국가였음이 입증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ntroduces the situation regarding agricultural seed material excavated from early-medieval Balhae (and Malgal/Mohe), Koksharovka sites located in the Russian Far East, and Koguryo sites. It proceeds with an explanation of the botanical composition and level of agricultural development in each culture. Using data gathered from seed materials excavated in two Koksharovka sites,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ite is presented. Following this analysis, the article seeks to demonstrate a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s spanning the Russian Far East and Korean peninsula.
    Balhae sites have revealed a high diversity of crops, which identifies a high level of agricultural production. Various types of millets are particularly dominant at the sites in the Primorye (Russian Far East); besides this, wheat and barley are also common. But there are sharp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crop remains across the sites.
    Millets are preeminent at Koksharovka-1 castle sites, but crop diversity i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other Balhae sites. For this reason, one can argue that Koksharovka-1 castle stands out among other Balhae sites as peculiar. Likewise, millets are dominant at the Koksharovka-8 tomb site. Excavated artifacts maintain strong similarities with those from Koksharovka-1, indicating similar population composition at both sites.
    The discovery of carbonic food remains at Koksharovka-8 tomb sites confirms this site had an altar function. These food remains indicate a probable link with similar ritual ceremonies that were common in the Amur region during the medieval period. Food has been used in ritual ceremonies at sites spanning the Russian Far East and Amur region, as well as tombs foun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ut the types of the seeds are different because of different cultures. In Russia rice crops are absent, in contrast with Korean sites where rice-seed remains are common.
    At Koguryo sites, a range of botanical materials has been found, most prominently rice and millet (panicum). In contrast to Koguryo, excavations at Baekje, Silla and Kaya sites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reveal some other kinds of seeds.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sites in Korean peninsula can be based not only on climate, but also likely cultural differences. For instance, many peach pits are found at sites belonging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It can be related with the spread of Buddhism, and later Daosim,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The results of seed remains studies found at Balhae, Malgal/Mohe and Koguryo sites show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botanical structures of Balhae and Koguryo, but also many similarities between Balhae and Malgal sites seeds material. It points to the strong probability that Balhae was a multicultural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