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글쓰기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의 인식 분석 (Suggesting an Instruction Plan and Analysing Students’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7.02
42P 미리보기
디지털 글쓰기의 수업 계획 시안 및 대학생의 인식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양교육연구 / 11권 / 1호 / 131 ~ 172페이지
    · 저자명 : 민춘기

    초록

    이 논문은 대학의 교양교육에서 디지털 시대에 새로운 수사법과 다중방식 글쓰기를 위한 수업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했다. 디지털 문화에 익숙한 학생들에게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통적인 글쓰기와 함께 디지털 글쓰기를 병행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디지털 세대 대상의 글쓰기 교육을 위한 새로운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글쓰기의 수업 계획서 시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대학생들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먼저, 디지털 글쓰기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동향과 사례를 살펴보기 위해 관련 문헌이나 해당 기관들의 홈페이지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보들을 검토하였다. 국내 연구들에서는 특정 분과학문이나 주제 중심으로 디지털 글쓰기를 다루고 있는 데 비해, 외국 대학에서는 포괄적인 수준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논의와 구체적인 수업 설계에 대한 사례가 제시되고 있다. 이어서, 디지털 글쓰기의 특성과 필요성 및 디지털 수사법과 디지털 도구 등을 중심으로 정리한 후, 디지털 글쓰기 수업을 위한 수업 계획 시안을 강의 개요 및 주별 수업내용을 중심으로 제안하였다. 주별 수업 주제의 일부를 제안하기 위해, 국내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자료와 정보를 활용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설문을 통해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여, 디지털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수요자 중심의 수업 모형의 구상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설문 분석의 결과에서는 대학생들이 대체로 디지털 글쓰기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지털 환경과 도구에 대한 이해, 디지털 에티켓, 디지털 스토리텔링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여기에서 제시된 수업 계획 시안은 포괄적인 차원에서 설계해 본 것이며, 이 과정에서 제시된 자료와 정보를 각 대학의 실정과 맥락에 맞는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모형 구상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글쓰기라는 새로운 과목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세미나 워크숍 등을 통한 정보 공유가 필요하다. 이 경우에 기술 전문성 개발을 제공하는 전통적인 워크숍 모델 지양하고, 분과학문 특수적이고 협력적인 공동체를 만들어 일차적으로 디지털 기술 도구와 디지털 리터러시 이론에 관해 대화하고, 함께 연구하고, 만들고, 공유하고, 평가하고, 성찰할 시간과 공간이 있는 교수진 중심의 실질적인 워크숍이 바람직하다. 협력 공동체와 기술 관련 전문성 개발 기회의 중심은 대화이기 때문에, 대화를 통해 교수진은 학생들과 자신들이 기술과 디지털 도구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관해 말하는 방식을 찾아야 한다. 기술이 글쓰기에서 중심 요소가 되고 있고 ‘핵심 책무성’의 일부라는 점을 글쓰기 교수진에게 고무시키고자 한다면, 기술에 관해 대화하는 방법을 바꿀 필요가 있다. 글쓰기가 어떻게 디지털로 되는가, 글쓰기가 기술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 이러한 이해가 더 큰 학문적·인적 공동체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인 디지털 글쓰기 수업의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어떤 세부내용을 어떤 활동을 통해 학습할 것인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져야 한다.

    영어초록

    The current article aims at suggesting an instruction plan for general digital writing in Korea and analysing students’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The starting point is that we should teach students digital writing in terms of general education in order to prepare them for the civic lives and professional career in the digital era.
    Firstly, the previous researches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were reviewed in order to apply in discussing the instruction plan. While the korean researches focused on the specific area or subject, studies abroad dealt with themes from general digital writing to concrete cases.
    Secondly, the terms such as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rhetoric were defined. Digital literacy can be defined as the knowledge, skills, and behaviors used in a broad range of digital devices which are seen as a network rather than computing devices. Digital rhetoric is the art of informing, persuading, and inspiring action in an audience through media, and it is an advancing form of communication composed, created, and distributed through multimedia. In addition, an instruction plan was provided drown upon the contents and samples of the studies. It contains digital spaces, digital rhetoric, digital tools, digital ethos, and digital copyright etc. Besides, the way how to assess the digital writing is discussed and suggested a couple of assessment manners.
    Finally, students’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was analysed to conceive the needs of students in modelling further instruction plan. Major finding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agree to need the digital writing course. Especially, they wanted that they can learn writing modes and methods in the digital spaces. Futhermore, they perceived understanding of digital etiquette and copyright as important. The students hoped that they can learn how to deal with digital tools and technology as well as the way to construct digital storytelling.
    In conclusion, a variety of programs for enhancing digital writing competence of teachers and students are needed.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 is designing workshops in which teachers can recognize the necessity and exchange materials and information of digital writing through mutual dialogue. Furthermore, some successive empirical studies should be followed by the suggestion and analyse of the artic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양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