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탈식민주의 생태비평과 라틴아메리카 문학 (Postcolonial ecocriticism and Latin American liter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2.08
19P 미리보기
탈식민주의 생태비평과 라틴아메리카 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47호 / 79 ~ 97페이지
    · 저자명 : 신정환

    초록

    제국주의는 단순히 피식민지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지배에 그치지 않고 문화, 사회, 그리고 환경에 이르는 피식민지 세계의 전반적인 기형화를 야기한다.
    이 글은 제국주의가 동반하는 생태계 파괴에 주목하여 탈식민주의와 생태비평의관계를 천착해 보고 탈식민주의적 생태문학이 라틴아메리카 문학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생태비평은 문학과 물리적 환경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문학 작품을 분석한다. 그런데 서구 중심으로 전개된 근대사에서 정작 가장 많은 침묵을 강요당하고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존재는 바로 자연이며 자연에 대한 통제와 착취는 세계화 시대에 들어와 더욱 가열되고 있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적 생태비평이 탄생하게 된다.
    라틴아메리카는 근대가 개막한 이래 제국주의의 폭력을 감내해 왔던 대표적인지역으로 그 자체가 탈식민주의적 생태비평의 살아있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라틴아메리카의 사회 및 자연 생태계 파괴를 야기한 생태학적 제국주의를 인식하는 작품들이 등장한 것은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이다. 특히 파블로 네루다와 니콜라스 기옌은 식민주의와 환경 파괴가 연관되어 있는 시스템을 시적으로 형상화하면서 생태문학을 구현한 대표적인 시인이라 할 수 있다. 두 시인은 우선 라틴아메리카의 모든 비극이 유럽의 신대륙 ‘발견’에서 비롯되었다고 인식한다. 이후아메리카의 자연은 그곳에 사는 사람들과 함께 제국주의 침략자에 맞서 투쟁하지만 끝내 패배하고 기나긴 침묵을 강요당한다. 제2세대 탈식민주의라 할 수 있는하위주체 연구는 침묵을 강요당한 주변부의 기억을 찾아내고 그 목소리를 대변한다. 그런데 기옌과 네루다는 그 하위주체에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의 사람뿐 아니라 자연을 포함시키고 이들의 잊힌 기억을 살려냄으로써 자연스럽게 탈식민주의적 생태문학의 양상을 보여준다. 이들의 작품에서 주인공이 되는 자연은 인간의 투쟁이 무언의 형태로 새겨진 역사적 기록으로서, 단지 묘사되는 것으로 만족치 않고 이해되기를 바란다. 시인은 이들의 대변인을 자임하면서 무관심과 억압에 의해 묻혀버린 인간과 대지의 역사를 환기해 주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imperialism means not only political, economical and military domination on its colonial territory but also the all-round deformation of the social, cultural and natural environment of colonial world and its people. In regard to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accompanied by imperialism,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give a general survey of the relation between postcolonialism and ecocriticism and to analyze how postcolonial ecocriticism is embodied in Latin American literature.
    Latin America is, we might say, an emblematic region that has suffered european imperialism, a living text in itself of postcolonial ecocriticism. It was in the middle of twentieth century that Latin American literary works appeared which recognized ecological imperialism. Pablo Neruda and Nicolás Guillén are representative poets of ecocritical literature, among others, with the poetic figuration of the system where colonialism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are intermingled. These two poets share the recognition that all the tragedies of Latin America began with its 'discovery' by Columbus. Since then, Latin American nature fought with the natives against white invaders but found herself defeated and forced into silence. The Subaltern Theory as postcolonialism of second generation looks for the subaltern memories and speaks for them. Neruda and Guillén include the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nature among the subaltern beings and try to restore their forgotten memories. The Nature as historical documents carving the human struggle in a tacit form wants not only to be described but also to be understood. These two poets wake us the buried history of men and nature by indifference and suppression and set themselves up as their spokes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