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군기지 유휴공간의 문화재생 사례 연구 - 캠프 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을 중심으로 - (Cultural regeneration of American military base under-used spaces: Focusing on the regeneration project of Camp Greave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7.09
24P 미리보기
미군기지 유휴공간의 문화재생 사례 연구 - 캠프 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46호 / 203 ~ 226페이지
    · 저자명 : 최보경

    초록

    급격한 근대화와 산업화로 인한 사회적 변화는 그 변화의 과정에서 유휴공간을생산했고, 사회 이면의 단절된 영역이 생성되었다. 최근 시대적 환경적 영향으로기존의 장소 재건을 통한 지역재생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고 유휴공간이 가지고있는 다양한 가치에 대해 재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유휴공간을 재생하는 것은공간을 기능적으로 변화시킬 뿐 아니라 문화를 공간에 적용함으로써 장소성을 세우고 인간의 삶의 변화를 통한 새로운 흐름을 이끌어내는 등 그 가치를 증명하고 있다.
    사회구조의 변화에 동반하여 지역의 장소성이 변화되면서 공간재생의 의미는 지역의 재생으로 확대되고 장소성을 부여하는 등 새로운 의미를 창출한다. 유휴공간은환경적 필요와 시대적 흐름에 의해 적극적으로 활용되기까지 복원, 보전, 보전과증축의 결합, 개조 등 다양한 과정에서 구조, 형태, 재료 등의 변형을 통해 새롭게변모시키는 재생이 진행된다. 과거에는 공간을 완전히 새롭게 재건축하는 의미의재생이 진행되었다면 근래에는 복원과 보전의 의미를 가진 문화적 재생이 주목받고있다.
    2002년 한미 연합토지관리계획 협정 체결 이후 반환이 진행중인 국내 반환대상미군기지는 80개소에 이르며 이중 54개 기지가 반환되었고 26개 기지는 반환될예정에 있다. 반환공여구역이라 불리는 반환대상 미군기지가 생겨나면서 이 공간들은 새로운 유휴지를 생성하고 있으며 사회기반시설이나 교육 및 문화관광시설 등으로 재생되고 있다.
    그 중 문화재생사업이 시작되고 리모델링이 진행중에 있는 캠프 그리브스는 군사시설보호구역 내에 위치하고 있어 그 도입기능에는 제약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지방정부의 직접 사업으로 진행되는 문화재생사업은 과거 미군기지 유휴지에 역사문화공원을 조성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문화재생을 통해 새롭게 거듭나고 있는 미군기지의 개발과정과 그 안에서 새롭게 정립되는 공공기반의 장소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캠프 그리브스의 지속가능성을 만들어낼 수 있는 동력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화재생과 유휴공간의 의미를 살펴보고, 미군기지에서 유휴공간이 되었던 캠프 그리브스의 문화재생사업 전후 과정을 우선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under-used space made by the social changes caused by rapid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s present in the isolated area of the cit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recent times, And the necessity of reconsideration was raised for the value of space, urban environmental,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aspects of under-used spaces. It proves the value of a place through the application of culture, and brings changes of the form of human life and the meaning of the place.
    As the social structure and the locality of each region changed, the meaning of spatial regeneration is expanded. And the meaning of regional regeneration and locality is added together. The regeneration of under-used space needed by the current needs and social context going by restoration, conservation, conservation, and extension is transformed into a new way through a transformation of structure, shape, and material in various ways, such as remodeling.
    It is expected that 80 US domestic bases will be returned to the ROK in return for the conclusion of the Korea-US Combined Land Management Plan Agreement in 2002, with a total of 54 bases returned and 26 bases returned. The US military bases, which are called returned areas, have created new under-used sites and are regenerated by social infrastructure facilities, educational and cultural sightseeing facilities.
    The cultural regeneration project of Camp Greaves, where the reconstruction progressed in civil restricted area, has constraints on the function of the introduction. The cultural regeneration project leading by provincial government is constructing a historical cultural park in the under-used area of US military bases in the past. The development of the US military bases, which have been changed and renewed through the cultural regeneration, I would like to find the power to create the sustainability of the Camp Greave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newly established locality, and want to find the meaning of culture regenration and the under-used space. For that reason we have to make a narrow search to the process before and after the cultural regeneration project of the Camp Grea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