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70년대 여성 대학생의 연극 경험과 ‘여대생 관객’의 형성 (The Theater Experienc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the Forma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 Audience’ in the 1970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4.02
31P 미리보기
1970년대 여성 대학생의 연극 경험과 ‘여대생 관객’의 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48호 / 379 ~ 409페이지
    · 저자명 : 김태희

    초록

    본고는 1970년대 연극 관련 지면에 등장했던 대학생 관객, 특히 ‘여대생’ 관객의 출현과 그들의 연극 경험을 재구성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파편화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당대 연극 관객의 상황을 재구성해 본다는 측면에서 본 논문은 본질적인 한계를 노정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이 파편화된 자료들 사이로 ‘여대생’ 관객이 결코 균일한 집단이 아니며 다양한 이유와 원인으로 연극을 경험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방 이후 확대된 고등교육으로 인해 여성들에게도 대학 진학의 기회가 생겼지만 여전히 전공 선택의 문제에 있어 여성들은 제한적인 선택권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여성의 대학 교육은 여성 개인의 선택이라기보다는, 가정 내의 한정된 재원을 투자하는 과정에서의 전략에 따르거나 혹은 사회적인 인식에 상당 부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여대생들의 전공이 어문계열, 예능에 쏠려있었던 것은 그러한 결과물이었다. 어문계열과 예능계열은 연극과 직간접적인 관련이 있는 전공이었고 그러다보니 여대생들은 자연스럽게 연극의 주체이자 관객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대학에서 여대생들이 연극을 상연하는 상황은, 어문계열에서 언어 학습을 위해 연극을 활용하는 것과 같이 전공 학습과 깊게 연관되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이것이 지겨운 학습의 차원에 머무른 것이 아니라, 학교 담을 넘어 외부로 확대되기도 했으며 이 과정에서 ‘연극 하기’는 대학생으로서의 자긍심, 유대감, 소속감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연극에 친숙했던 여대생들은 1970년대의 적극적인 관객으로 성장했다. 이들의 관극 동기를 일원화해서 설명하기는 어려우며, 배우에 대한 선호, 독서 취향의 산물에서부터 고급 취미, 교양의 학습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들의 관극 행위는 적극적인 측면이 강해서, 종종 완성도가 낮은 공연에 대해서는 연극 안보기 운동을 벌일 정도였으며 이는 연극관계자들에게 위기의식을 불러 일으키기도 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appearance of university student audiences, especially ‘women's students,’ who appeared in the theater-related pages in the 1970s, and their enjoyment of the theater. In terms of reconstructing the situation of the theater audience in the past based on fragmented data, this paper exposes essential limitation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audience of ‘women's students’ was by no means a uniform group and enjoyed the theater for various reasons.
    Women also had the opportunity to go to university due to the expanded higher education after liberation, but women still had limited options when it came to choosing a major. Women's university education was inevitably affected not by individual women's choices, but by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investing limited financial resources in the home, or by social perception. As a result, female university students' majors focused on language and art. Language and art we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ater,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naturally forced to grow into the subject and audience of the theater.
    The situation in which female students perform theater in university was often deeply related to major learning. However, this did not stay in the dimension of boring learning, but expanded to the outside beyond the university wall, and in this process, ‘doing theater’ seems t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pride, bond, and belonging as a university student. Female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familiar with the theater grew up to be active audiences in the 1970s.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ir motives for watching in a unified way and it seems that they ranged from products of preference for actors, reading taste, high-end hobbies to liberal arts learning. However, their viewing behavior had a strong active aspect and they made a movement not to watch low-quality performances, giving theater officials a sense of cri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