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黃生傳>의 서사 갈등의 양상과 양식적 특징 (A Study on the narrative complication of and the patt ernal characteristic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06.06
26P 미리보기
&lt;黃生傳&gt;의 서사 갈등의 양상과 양식적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24호 / 87 ~ 112페이지
    · 저자명 : 권도경

    초록

    조선 후기에는 한문 산문 내부에서도 다기한 양식들이 한데 뒤섞이고, 그 외부의 국문 산문과의 상호 작용 속에서 서사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해 나가면서 서사, 허구, 교술 등이 어우러져 만들어 내는 양식 및 구성적 특징의 문제는 보다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된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본 고가 주목해 보고자 하는 작품이 바로 황생전이다. 황생전은 전(傳)과 의론체 산문의 양식적 틀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허구적 서사성을 다양한 방식으로 형상화 한 작품이다. 기본적으로는 황생이라는 인물의 일대기를 그리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인물전(人物傳)의 성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그런데 주인공 황생이 실제 조선조 역사 속에서 실존했던 인물이 아니라 허구적으로 창조된 인물이라는 점에서 황생전은 거사직서(據事直書)를 본령으로 하는 전(傳) 양식의 바운더리를 벗어나 있다. 한편 황생전의 전체 구성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교술적 산문의 양식에 속하는 의론체 문답이다. 중편 이상의 소설 작품 속에 의론체 문답이라는 것이 본래 작가의 담론을 작품 속에서 형상화 하기 위해 차용되는 형식이라고 할 때, 상대적으로 단편 소설의 분량인 황생전에서 의론체 문답이 절반 이상의 분량을 차지한다는 사실은 황생전의 장르적 속성이 허구적 서사성과 교술적 산문성이 양극단을 이루는 스펙트럼 속에서 어느 지점에 위치해 있는가 하는 문제를 불러일으키기 충분하다. 이처럼 황생전이 한문 산문의 전통을 변주하는 지향성의 끝에는 소설이란 장르가 위치한다. 본 연구는 황생전은 한문 산문의 다양한 양식적 전통을 배경으로 하여 이러한 소설 지향성을 어떻게 획득해 내고 있는가 하는 점을 첫째, 서사 구성 및 갈등 구조, 둘째, 양식적 특징에 대한 자세한 고찰을 통해 밝혀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A patternal or compositional matter, that a narrative and a fiction etc got joined together and made, got show a mutiplex shape in the latter term of chosun dynasty. That times, various styles were mingled together in the insides of Chinese prose writings. On the other hands, in the outsides, Chinese prose writings have opened up a new ground to interact with the Korean prose. Being connected with these, the work is 「Hwangseng-jeon」 that this paper will study on.
    「Hwangseng-jeon」 is a short story that Kim Gi(金琦:1722-1794), a intellectual being out of power, writed in 18th. From now on, 「Hwangseng-jeon)」 have syudied on Kim Gi's authorial consciousness, partly. There isn't the syudy on 「Hwangseng-jeon」, itself.
    「Hwangseng-jeon」 is the work that keeps up mostly the patternal frame of discussing narretion. Other hands, 「Hwangseng-jeon」 is the work that makes a test on the fictitious narration as various patterns. Fundamentally, a disposition of the personality-Cheon(傳) appears in 「Hwangseng-jeon」 over all, seeing that 「Hwangseng-jeon」 describes a biography of what one is Hwangseng(黃生). Then 「Hwangseng-jeon」 is free iteself from the a category of Cheon's style, in the point that a hero, Hwangseng is the hero who not only exsist historically but also inventd fictitious. On the other hands, it is questions and answers discussing what takes up much space in 「Hwangseng-jeon」's constitution. These directivity to the fiction appearing in 「Hwangseng-jeon」 is simillar to the patternal distinction of novel.
    This syudy intends to the interioral study on 「Hwangseng-jeon」. This paper will look into minutely the narrative organization. And secondly, the point od this study is the patternal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