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D 모션 착시 디자인에 미치는 색채의 영향 -CIE Lab 색공간 내 색상 요소 및 근접성 모델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Color on 2D Motion Illusion Design -Focused on Color Elements and Proximity Model within the CIE Lab Color Spac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4.09
15P 미리보기
2D 모션 착시 디자인에 미치는 색채의 영향 -CIE Lab 색공간 내 색상 요소 및 근접성 모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30권 / 3호 / 239 ~ 253페이지
    · 저자명 : 안현주, 이상원

    초록

    본 연구는 모션 착시 디자인을 위한 필요 변수를검증하고, 본 변수의 계산을 위해 기존 색상 대비 모델이 아닌 색상 근접도(Ea*b*) 모델을 제안함으로써착시 현상에 대한 디자인적 접근성을 높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색상의 3요소(명도, 채도, 색상) 및 구체적 색 체계를 바탕으로 착시를 새로운 디자인도구와 기법으로서 사용하고, 이를 통해 착시의 디자인적 접근 장벽을 낮추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총 10개의 서로 다른 착시 자극물을 제작하여 색상 대비와색상 요소를 기준으로 착시의 강도와 시간 차이를 확인하는 양적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은 착시 이론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으며 착시 현상을 경험할 수있는 여자 25명, 남자 9명의 총 34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시각적 자극물은 대비 정도에 따른 강도 차이 및 기존 색상 대비 계산 모델 검증을위해 제작된 인접 영역 간 색상 차이를 준 6개의 모델과, 색상 요소의 개입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명도, 채도, 명도와 채도를 함께 통제한 모델과 세 요소 중그 어떠한 것도 통제하지 않은 모델 4가지로 구성하였다. 자극물의 인접 영역 간 대비는 휘도에 의존하여색상 대비를 측정하는 Weber 대비와 색상 간 거리를측정하는 Ea*b*로 계산되었다. Spearman 상관관계를통해 통계 분석을 진행한 결과, 배경과 테두리 간 대비가 가장 큰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고, Ea*b*가Weber에 비해 자극물 내 색 대비와 착시 강도 간 상관관계를 더 잘 파악하였다. 후자의 경우 ANOVA 분석 결과, 명도와 채도 중 한 개의 통제만으로도 시간차이를 경험할 수 없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명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기존 착시 현상에 대한 한계점을 발견하였다. 더하여, 휘도 개념에 의존하여 색대비를 계산하는 것을 넘어 색체계 모델 내 Ea*b* 계산을 통한 포괄적 이해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색상 대비, 색상 계산 모델, 색상 요소을 기반으로 기존 시각적 착시 이론에 대한 정교화 및 구체화를 진행한 연구로, 착시 디자인에 대한 필수 요소를단순 명도에서 색의 3요소 및 Ea*b*로 확장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션 착시를 위한 더욱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이는 또한 착시 디자인의 보편화를 위한 후속 연구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design accessibility of motion illusions by validating the necessary variables for illusion design and proposing a color proximity model rather than relying on existing color contrast models for calculating these variables. This study aims to use motion illusions as a new design tool and technique by basing them on the three components of color (luminance, saturation, and hue) and specific color systems, thereby reducing design barriers associated with motion illusions. To this end, by creating 10 different illusion stimulants, a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illusions’ intensity and time differences based on color elements and contrast. The study involved 34 participants (25 women and 9 men) who had no prior knowledge of illusion theories and were capable of experiencing motion illusions. The visual stimulants consisted of 6 different illusion designs having color differences in adjacent areas to verify the difference in intens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ntrast and 4 different illusion designs to confirm the degree of the involvement of color elements by controlling lightness, chroma, and both or none of them.
    In the case of former stimulants, the contrast between adjacent areas is calculated using two color calculation models: Weber, which uses luminance to compare contrast, and Ea*b*, which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colors. As a result of conducting statistical analysis through Spearman correlation, the contrast between the background and the outline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Ea*b* more effectively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color contrast and illusion intensity within stimuli compared to Weber. In the latter case, as a result of ANOVA analysis, it is verified that the experience of a time difference is impossible when either lightness or chroma is controlled. This finding highlight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focused mainly on luminance. Moreover, it was confirmed that beyond calculating color contrast based solely on luminanc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is needed through calculating color proximity (Ea*b*) within a color system model. By refining and elaborating on existing visual illusion theories based on the three color elements and color system models,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much more concrete guidelines for motion illusion design were achieved by expanding the essential elements of illusion design from basic luminace to 3 color elements and Ea*b*. It also contributes as a valuable resource for subsequent research on the universalization of illusion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