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즈니 작품에 나타난 정치적 올바름의 시각적 영향-디즈니 <인어공주>에 나타난 피부색을 중심으로- (The Visual Influence of Political Correctness in Disney’s Works
–Focusing on Skin Color in Disney’s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4.09
29P 미리보기
디즈니 작품에 나타난 정치적 올바름의 시각적 영향-디즈니 &lt;인어공주&gt;에 나타난 피부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만화애니메이션연구 / 76호 / 279 ~ 307페이지
    · 저자명 : 한혜진

    초록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PC 주의)은 소수 약자에 관한 편견이 섞인 표현을 쓰지 말자는 운동으로 시작되어 인종, 성적 지향, 성별, 직업 등과 관련 이 깊다. 특히 애니메이션 시장에서는 전통적인 주인공 여성의 유형에서 벗어 나고자 하는 노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23년 개봉 한 디즈니의 인어공주(The Little Mermaid)만큼 논란이 된 작품을 찾아보기 어렵 다. 본 연구에서는 디즈니 작품에 나타난 정치적 올바름의 시각적 영향에 관 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장에서는 디즈니 작품의 원작과 실사로 제 작된 영화를 비교하고, II장에서는 <인어공주> 작품의 트레일러 컷 구성의 비 교와 캐릭터의 피부색 표현을 중심으로 시각적 표현의 특성을 분석하기로 한 다. 그 결과, 시대의 흐름에 따라 첫째, 애니메이션을 그대로 실사화, 둘째, 애 니메이션에서의 전통적인 여성상을 영화상에서는 진취적인 현대의 여성으로 표현하여 젠더의 정체성에 변화, 셋째, 애니메이션에서 악역인 인물을 주인공 으로 한 스핀오프(Spin-off)로 재구성, 넷째, 애니메이션에서 표현된 인종을 변 화시켜 실사영화에 등장하는 문화적 배경을 다양화를 추구하여 정치적 올바 름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디즈니 <인어공주> 작품의 트레 일러 컷 구성의 비교를 통해 캐릭터 피부색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애 니메이션 캐릭터의 피부색에서 붉은 기운이 더욱 강하게 나타났고, 실사영화 배우 피부색은 애니메이션보다 매우 어둡게 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어두운 피부색 표현의 문제는 단지 흑인 배우를 캐스팅한 것만 의 문제로는 볼 수 없었다. 적은 조명에서도 촬영이 가능해진 디지털 촬영 환 경이 만들어낸 문제로 지적되기도 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영화의 전반적인 화면의 밝기가 어둡게 설정되어 관객에게 또 다른 위화감을 조성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바다라는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다고 하더라도 관객에게 위화감 을 조성하는 색채 구성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 더불어 과도한 정치적 올바름 (PC 주의)의 적용이 강한 반대급부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에 관해서도 다시 한 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Political Correctness began as a movement to avoid using expressions containing prejudice against minorities and is deeply related to race, sexual orientation, gender, and occupation. In particular, efforts are being made to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al female protagonist type in the animation market. In this regard, it is difficult to find a work as controversial as Disney’s The Little Mermaid, released in 20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tudying the visual influence of political correctness in Disney’s works. In this paper, the influence of political correctness in Disney’s works will be researched. Moreover the characters of the animated film <The Little Mermaid> and the live- action film will be analyzed focusing on the expression of the character’s skin color. do.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1) animation was converted into live-action, 2) the traditional female image in animation was expressed as an enterprising modern woman in the movie, resulting in a change in gender identity, 3) a villain character in animation was changed as the main character reconstructing as a spin-off, (4)it was confirmed that political correctness was shown by seeking to diversify the cultural background that appears in the live-action film by changing the race expressed in the animation.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character skin color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trailer cut composition of Disney’s <The Little Mermai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nimation character’s skin color had a stronger red tone, and the live-action film actor’s skin color was expressed much darker than the animation. However, this problem of expressing dark skin color could not be seen as simply a problem of casting black actors. This is because it was pointed out that this was a problem created by the digital shooting environment, which made it possible to shoot even in low light. Accordingly, the overall screen brightness of the movie was set dark, creating another problem that created a sense of discomfort for the audience. Even conside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ea, the color composition that creates a sense of discomfort to the audience needs to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fact that excessive application of political correctness is creating strong counter-benefi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화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