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사론>> <계품>의 무표색 해석에 관한 고찰 - <<구사론>> 삼대소 주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Vijñapti-rūpa Interpretation of The Dhātus(CHAPTER ONE) of Abhidharmakośabhāṣya - with a Focus on The Three Annotations for Abhidharmakośabhāṣya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2.12
38P 미리보기
&lt;&lt;구사론&gt;&gt; &lt;계품&gt;의 무표색 해석에 관한 고찰 - &lt;&lt;구사론&gt;&gt; 삼대소 주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38호 / 107 ~ 144페이지
    · 저자명 : 김남수

    초록

    설일체유부는 모든 존재를 5위75법으로 나눈다. 이 가운데 물질을 총칭하는 색법은 5근, 5경, 무표색(無表色)의 11종으로 분류한다. 유부에서 색법인 물질은 변애(變礙)를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무표색은 색법의 범주에 속하지만 변애성을 지니지 않는다. 『구사론』의 「계품」에서는 이러한 무표색과 변애성의 논란에 대해 대론(對論)의 방식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한역 『구사론(俱舍論)』에서 대론을 따라가며 이해하는 작업은 결코 간단하지 않다. 난해한 논서의 이해를 위해서는 권위 있는 주석서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필수이다. 전통적으로 『구사론』에 대한 권위 있는 주석서는 『구사론』의 3대소(三大疏) 혹은 3소(三疏)라 불리는 『태소(泰疏)』, 『광기(光記)』, 『보소(寶疏)』 등이다. 이 3소는 각각의 견해로 본문의 구조와 내용을 분류하여 해석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3소에서 밝힌 구조와 내용을 분석하여 『구사론』 「계품」의 ‘무표색의 변애성 해석’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했다. 먼저 3소에서 설명하는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사는 표색에 변애가 있기 때문에 무표도 색이라 한다. 둘째 논사는 소의인 4대종(大種)에 변애가 있기 때문에 무표도 색이라 한다. 이 논사는 4대종이 무표의 직접적인 근거가 됨에 주안점을 둔다. 셋째 논사 역시 소의(所依)인 4대종에 변애가 있음을 근거로 한다. 이 논사는 무표의 소의인 대종에는 변애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데 주안점을 둔다. 이를 통해 둘째 논사가 야기한 ‘5식(識)과 5근에 의한 반론’을 차단하며, 결론적으로 무표는 변애하는 소의인 4대종을 따라 색이라 할 수 있음을 밝힌다.
    『구사론』을 비롯한 아비달마 계통의 논서는 시간이 흐를수록 이해하기 어려운 영역이 되었다. 권위 있는 주석은 그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특히 『구사론』의 3소는 역자(譯者)의 친전(親傳) 제자들의 주석이기에 그 신뢰성이 높다. 『구사론』의 한문 주석서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현실을 고려할 때, 무표와 변애의 문제를 3대소의 주석을 중심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이번 시도는 부족하나마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Sarvastivada cagorize all beings into Five-unit and Seventy five-dharma. Among them, rūpa, which collectively refers to substances, is further categorized into 11 groups: five sense organs, Five objects, and avijñapti-rūpa. In Sarvastivada, a substance that is catergorized under rūpa has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However, even though avijñapti-rūpa belongs to the category of rūpa, it does not have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The Dhātus(CHAPTER ONE) of Abhidharmakośabhāṣya explains the controversy of avijñapti-rūpa and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in a form of debate.
    Nonetheless,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contents in the original text of Abhidharmakośabhāṣya. To better understand the contents in the esoteric debate, one must refer to authoritative annotations. Traditionally, the authoritative annotations of Abhidharmakośabhāṣya include Taishu(泰疏), Guangji(光記), and Baoshu(寶疏), called The Three Annotations of Abhidharmakośabhāṣya. This Three Annotations classifies and interprets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e text from their perspectives.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guidance in understanding the interpretation of avijñapti-rūpa and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in The Dhātus(CHAPTER ONE) of Abhidharmakośabhāṣya through the structure and content analysis revealed in The Three Annotations.
    Summarizing the perspectives in The Three Annotations, The first ābhidhārmika claims avijñapti-rūpa is also rūpa because vijñapti-rūpa has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The second ābhidhārmika argues that avijñapti-rūpa is also rūpa because mahābhūta, which is the basis of avijñapti-rūpa, has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This ābhidhārmika focuses on the fact that avijñapti-rūpa is directly dependent on mahābhūta.
    The perspective of the third ābhidhārmika is also based on the fact that mahābhūta has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This ābhidhārmika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must exist in mahābhūta, the basis of avijñapti-rūpa. This approach counters the ‘argument by the five consciousnesses and the five sense organs’ of the second ābhidhārmika, and in conclusion, it is revealed that avijñapti-rūpa can be classified as rūpa because its basis has the quality of deterioration and resistance.
    Understanding Chinese translations of abhidharma-piṭaka, including Abhidharmakośabhāṣya, is becoming a difficult area over time. Authoritative annotations are very helpful in overcoming these difficulties.
    In particular, The writer of The Three Annotations for Abhidharmakośabhāṣya studied under the original translator of Abhidharmakośabhāṣya, so it is recognized to be more credi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