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품의 디자인 스타일에 따른 2색 배색의 추출과 검증 (Extraction and Verification of Two-Color Combinations by Product Design Styl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2.08
12P 미리보기
제품의 디자인 스타일에 따른 2색 배색의 추출과 검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색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6권 / 3호 / 55 ~ 66페이지
    · 저자명 : 이윤진, 홍정인, 김수정

    초록

    제품의 디자인적인 가치를 논할 때 첫인상을 좌우하는 큰 역할을 하는 것이 색채의 조합, 즉, 배색이며 제품 디자인의 감성적 측면을 표현하는데 용이하다. 선행연구에서 제품 디자인을 위해 도출된 감성언어를 실제 제품 디자인에 유용하게 활용되도록 디자인 스타일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 디자인에 필요한 감성 배색을 디자인 스타일별로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연구를 실시하였다.
    제품의 디자인 스타일을 표현하는데 어떤 배색이 적절한지 검토하기 위해 색채전문가에 의해 28개의 디자인 스타일별로 3가지 타입의 2색 배색이 제작되었다. 타입 A는 디자인 스타일에 대응되는 색을 주조색으로 한 배색이고 타입 B는 무채색이 주조색인 배색이며 타입 C는 주조색, 보조색 모두 제한 없이 각각의 디자인 스타일의 이미지를 표현한 배색이다. 제작된 배색들이 각 디자인 스타일의 이미지에 적합한지 확인하기 위해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여 배색에 대한 평가의 경향과 판단기준을 중심으로 검토해 보았다. 첫째, 28개 디자인 스타일별 3가지 타입에서 추출된 모든 배색은 적합성 평가치의 평균으로 판단한 결과 전체적으로 평가치의 중성점(中性点)보다 높았으므로 각 디자인 스타일을 적합하게 표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적합성 평가에서 각 타입의 배색을 어느 정도 식별했느냐를 평가치의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판단했을 때 각 디자인 스타일을 가장 적합하게 표현한 것은 타입 C라고 판단되었다. 셋째, 감성 배색에 대한 적합성 평가 시의 참가자의 판단기준을 중심으로 검토해 본 결과 각 디자인 스타일별 배색에 대한 식별성과 판단의 일의성(一意性)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식별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타입 A는 판단의 일의성도 낮아 평가 시 복잡한 판단기준이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디자인 스타일별로 추출된 2색 배색은 전체적으로 디자인 스타일의 이미지를 양호하게 표현하였다. 그 중에서 특히 타입 C의 주조색, 보조색 모두 특정 색의 지정 없이 제작된 배색이 가장 안정된 평가 경향을 보였으며 디자인 스타일의 이미지를 적절히 표현한 배색으로 판단되었다.

    영어초록

    determining the design value of products, color combinations play a pivotal role in creating first impression, and can effectively reveal the sensibility aspect of product design. Sensibility words from previous studies that have been selected for product design were classified based on design style so that they can be directly applied for actual product design. This study aimed to extract sensibility color combinations demanded in product design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To investigate what type of color combination would effectively convey the design style of a product, 3 types of two-color combinations for 28 respective design styles were generated by color specialists. Type A is a color combination with a dominant color corresponding to a design style. Type B contains an achromatic dominant color, and Type C is an expression of one’s own style without constraints on dominant or control colors. A suit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on the color combinations to examine whether the images were appropriate for the design style. We analyzed evaluation tendencies and judgment criteria for color combinations. Firstly, it was identified that all the color combinations were properly representing each design style as suitability evaluation values of the sensibility color combinations were higher than the overall mean. Secondly, when the discrimination level in the suitability evaluation was determined using standard deviation of the evaluation values, Type C was identified as the most stable representation of design styles. Thirdly, analysis on participants’ judgment criteria in the suitability evaluation revealed a correlation between discrimination levels for color combinations in each style and unique judgments. In addition, Type A with relatively low discrimination level also showed fewer unique judgments suggesting the possible contribution of complicated judgment criteria.
    Two-color combinations extracted based on design styles were effective in expressing the overall design style image. Especially, Type C color combinations with no constraints on dominant or control colors exhibited the most stable evaluation tendencies, and can be identified as the most appropriate representation of a design style im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색채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