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흰 색 십이지 동물 상징성의 한일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Symbolism of the White Animals of the Twelve Horary Signs of Korean and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7.01
30P 미리보기
흰 색 십이지 동물 상징성의 한일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66호 / 43 ~ 72페이지
    · 저자명 : 금영진

    초록

    백말 띠 해, 황금돼지 해, 빨간 돼지 해 라는 표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오방색과 십이지 동물의 조합은 60 년 주기로 돌아오며 우리 생활과 늘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오방색 혹은 십이지 동물의 상징성에 대한 연구 또한동아시아 각국에서 오래전부터 널리 행해져 왔으며 국가 간 비교 연구도 최근 많이 행해지고 있다. 하지만, 청적황백흑의 오방색으로 분류된 십이지 동물의 상징성을 다룬 국가 간 비교연구는 아직까지 없었다.
    이는 물론, 그러한 발상이 가지는 미신으로서의 부정적 측면이 너무 부각되어 온 탓이 크다. 하지만 그렇기에 더더욱 5가지 색깔의 십이지 동물이 만들어 내는 60가지 경우의 상징성이 동아시아 각 문화권에서 저마다어떻게 인식되어 왔는지 비교문학적 관점에서 고찰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이다. 그리고 본논문에서는 그 첫 단계로서,한일 양국 고전에 보이는 흰 색 십이지 동물을 비교고찰의 대상으로 삼았다. 그이유는 한일 양국의 고전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많이 보이는 오방색이 흰 색이며,실제로 흰 색 동물이 적지않게 등장하기 때문이다.
    흰 색 동물이 가지는 상징성은 나라마다 시대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동아시아에서는 전통적으로 상서로운 이미지로 통한다. 하지만 한일 양국 간에는 차이도 또한 존재한다. 즉, 일본 고전에서의 흰 색 십이지 동물은 신과 인간을 연결해 주고 복을 전해주는 신의 사자 내지는 화신이라는 긍정적인 상징성을 보이는 경우가많다. 반면에 한국고전에서의 흰 색 동물은 ‘긍정적인 특별함’과 ‘부정적인 괴이함’이라는 두 가지의 상반되는상징성을 보인다.
    즉, 일본인이 흰 색 동물에 대해 가지는 이미지는 대개 ‘긍정’이지만, 한국인이 갖는 이미지는 ‘긍정’과 ‘부정’ 이 혼합 교차하며 일본인에게 있어서 흰 색 동물은 약간의 예외를 제외하면 대개는 ‘행운’을 상징하지만 한국인에게는 ‘행운’일 수도 ‘불행’일 수도 있는 것이다. 또 흰 색 동물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경우라 하더라도한국인에게 있어서 흰 색은 ‘양기(陽気)’를 주로 상징하며, 이 점 일본인의 그것과는 구별된다. 조선시대의 효자가 백사(白蛇)를 잡고, 오늘날의 한국인들이 백수오(白首烏)를 찾는 이유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Comparative studies of Korea and Japan about symbolism of the animals of the twelve horary signs have already been done but those classified by Obangsaek(五方色; The Five Cardinal Colors; the East Asian traditional five colors of white, black, blue, yellow and red) have never been examined. Hence this thesis focuses on white animals among the five types of colored animals of the twelve horary signs in the classical literature of Korea and Japan as the subject because white is the most commonly seen color of Obangsaek in classic literature of the two countries.
    The symbolism of white animals had an auspicious image in ancient China. However, there is an evident difference in the symbolism of it between Korea and Japan. That is, white animals of the twelve horary signs i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usually have affirmative symbolism as messengers of god and they connect god and human, delivering good fortune from god to human. On the other hand, White animal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have antithetic symbolism as ‘affirmative distinction’ and ‘negative strangeness’. Thus, on a scale of one to a hundred, the attitude of viewing white animals as affirmative is a hundred in Japan while being only fifty in Korea. This difference comes from different perceptions about the white color of animals as the Japanese view it as ‘purity’ or ‘sacredness’, and the Koreans take it as ‘affirmative distinction’ or ‘negative strangeness’. Images that the Japanese have towards white animals are mostly ‘affirmative’ while those that the Korean have towards white animals, ‘affirmative’ and ‘negative’ are mixed. White animals symbolize ‘good fortune’ to the Japanese but for the Korean white animals can be ‘good fortune’ or ‘misfortune’.
    Moreover, even in the case of taking the white animals as ‘affirmative’,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For example, the Japanese view the white snake as that which connects god and human and gives good fortune and mone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s recognize them as medicated food that provides good energy. In this case, the white animals symbolize ‘Good fortune’ to the Japanese and ‘Good energy’ to the Kore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