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전환기 서양인의 한국 고전문학 연구 지평 -새 연구서지 목록 집성과 해제를 중심으로- (The Research Horizon of Westerners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Focusing on the Compilation and Annotation of a New Research Bibliography-)

7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5.02
72P 미리보기
근대 전환기 서양인의 한국 고전문학 연구 지평 -새 연구서지 목록 집성과 해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85호 / 207 ~ 278페이지
    · 저자명 : 이민희

    초록

    본 연구는 근대전환기에 서양인이 문제제기한 한국 고전문학 연구 담론과 그 논의 내용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서지목록을 집성하고 그에 대한 종합적 해제를 시도했다. 원한경(H.H. Underwood)의 「서양문헌목록」(1931)을 수정, 보완, 새 자료 추가의 방식으로 근대전환기 서양인의 한국고전문학 언급 저작물 총량을 파악하고 그 서지 정보를 목록화했다. 본고에서 새로 집성해 만든 「서양인의 한국 고전문학 연구 서지목록」은 근대전환기에 외부자적 시선으로 바라본 한국 고전문학의 특징과 시각 전반을 파악할 수 있는 요긴한 1차 자료가 된다.
    서양인의 한국 고전문학 관련 논의 저작물 171편을 확보해 주제(내용)별로 나눈 결과, ‘국문고전산문(설화・소설)>한문학비평-작가‧작품론>고전시가(시조・민요)>민속공연(무속・속담)>문학사(어문생활사>독서(교육)생활’ 순으로 출현 빈도가 높았다. 한문학(35%)보다 ‘구비문학・국문문학(연행문학)(65%)에 더 많은 관심이 있었음을 의미한다.
    오리엔탈리즘에 경도된 서양인과 달리, 자발적으로 한국 고전문학 연구에 뛰어든 서양인들은 중국과 일본문학과의 관계 속에서 한국문학의 실체를 ‘자각’하거나 ‘발견’한 이들이었다. 한국인의 어문생활적 요소를 객관적으로 관찰, 소개한 것으로부터 시작해 설화 번역을 비롯해 속담과 국문 고전소설을 소개하는 한편, 고전시가로 시조집 수록 시조와 민간에서 불리던 민요에 관한 연구로 관심사가 확장되었다. 그 후 1900년 전후부터 한시를 비롯해 한문학 작가와 작품세계를 다룬 글들이 다수 나타났다. 한국 고전문학 작품 번역과 이론적 고찰은 ‘서양 발(發) 오리엔탈리즘에 대응되는 서양인들의 수정주의적 태도’와 연결된다.
    1930년대 초까지 서양인들이 내놓은 한국 고전문학 작품 번역과 소개, 논쟁은 초기 한국문학 연구의 토대 형성의 산증인과 같다. 서양인에 의해 한국 고전문학 연구가 영역화, 영토화하기 시작했다. 한국 고전문학 연구의 시원과 변전 과정을 살피고 그 의미를 찾기 위해선 우선적으로 서양인이 이룩한 성과부터 객관적으로 재평가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Western discourse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ity, focusing on compiling a bibliography and comprehensive commentary. This study revises and expands on H.H. Underwood's "Western Literature Bibliography" (1931), by identifying and quantifying Western works that menti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offering a detailed bibliography. The newly compiled “Bibliography of Western Studies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erves as a valuable primary source for understanding outsider’s perspective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e study identified 171 works by Western authors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he study categorizes these works by theme, revealing that the most frequently addressed topics were Korean classical prose (folk tales and novels), Chinese literary criticism, classical poetry (sijo and folk songs), folk performances (shamanism and proverbs), literary history (history of language and literature), and reading practices.
    Notably, during this period, Westerners showed greater interest in oral and vernacular literature (65%) than in Chinese-influenced literature (35%).
    Unlike the Orientalist perspective that dominated Western thought, Western scholars who actively engaged with Korean classical literature recognized its distinctive nature because of its relationship with Chinese and Japanese literary traditions. Their work began with objective observations about Korean verbal traditions, followed by translations of folk-tales, and gradually expanded to the study of proverbs, classical novels, and folk songs. By the early 1900s, the focus had extended to include works of Chinese-influenced Korean poets and classical Chinese poetry.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theoretical analyses were linked to the ‘revisionist attitude’ of Western scholars in response to Orientalism.
    The translations, introductions, and debates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by Western scholars until the early 1930s serve as a living witness to the foundations of early Korean literary studies. Western scholars played a key role in regionalizing and territorializing the Korean classical literature studies. To examine the origins and evolution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understand its significance, an objective reassessment of Western scholars is essent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