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의 영토 조항과 SCAPIN 제677호의 관련성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Analyses on the legal status and probative value of SCAPIN No. 677 regarding territorial provisions of the Peace Treaty with Japa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3.06
30P 미리보기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의 영토 조항과 SCAPIN 제677호의 관련성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독도연구 / 34호 / 7 ~ 36페이지
    · 저자명 : 김원희

    초록

    한국과 일본 정부는 1952년 1월 18일 대한민국이 선포한 「인접 해양에 관한 주권 선언」으로 촉발된 독도 영유권 문제와 관련하여 왕복외교문서에서 SCAPIN 제677호에 대해 다른 견해를 표명하였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학자들 역시 SCAPIN 제677호의 법적 효력과 독도 영유권 문제와의 관련성에 관해 서로 상이한 견해를 표명하고 있다. 논쟁의 핵심은 연합국총사령관이 독도 영유권의 귀속을 최종적으로 처분할 권한이 있었는지, 나아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의 영토조항이 SCAPIN 제677호를 반영하여 독도를 한국의 영토로 귀속시켰다고 볼 수 있는지이다. 이러한 문제에 답하기 위해서는 SCAPIN 제677호와 강화조약의 문언만을 검토하고 분석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법상 전시점령당국이 피점령국의 영토 범위를 확정할 권한을 보유하고 있었는지, 그리고 일본이 포기해야 할 영토 범위에 독도가 명시되지 않은 강화조약의 영토조항이 어떠한 조약법 원칙에 의해 해석하고 뒷받침해야 하는지를 규명해야 한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국제법에 따르더라도 전시 점령당국이 피점령국의 영토를 최종적으로 처분할 권한이 없었기 때문에, SCPAIN 제677호가 최종적으로 독도를 일본의 영토에서 배제시켰다는 주장은 국제법적 근거가 빈약하다. SCAPIN 제677호가 독도의 영토 권원에 대한 직접적 증거라거나, 그에 따라 독도 영유권 귀속이 최종적으로 결정되었다는 주장은 한일 양자관계뿐만 아니라 제3국에게도 설득력을 가지기 어렵다. 그렇다고 해서 SCAPIN 제677호가 독도 영유권 문제와 관련하여 아무런 법적 가치나 증명력을 갖지 못하는 문서라는 주장이 타당한 것은 아니다. SCAPIN 제677호가 독도 영유권과 관련하여 개별적인 문서로서 갖는 법적 효력이나 증명력은 낮다고 할지라도, 전후처리 과정에서 연합국과 일본이 합의한 카이로 선언, 포츠담 선언, 항복 선언 등의 문서와 연계하여 당시 연합국의 인식을 보여주는 증거로 활용해야 한다. 즉 SCAPIN 제677호는 독도가 일본의 식민주의적 폭력과 야욕에 취득된 영토이므로 한국에게 반환되어야 한다는 당시 연합국의 인식과 실행을 나타내는 증거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연합국총사령관이 초기 대일 점령정책을 이행하면서 발령한 SCAPIN 제677호에 근거하여 독도를 일본의 통치 범위에서 배제했다는 점은 연합국이 당시에 독도가 일본의 식민주의적 침략에 의해 취득된 영토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증거로서 일정한 증명력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Government of Korea and Japan expressed different views on the legal status of SCAPIN No. 677 in the exchange of diplomatic notes regarding the territorial title over Dokdo triggered by the 「Declaration of Sovereignty over Adjacent Oceans」 by the Republic of Korea on January 18, 1952. International law scholars in Korea and Japan also had taken different views on the legal effect of SCAPIN No. 677 concerning the sovereignty over Dokdo.
    The crux of the debate is whether the Commander-in-Chief of the Allied Powers had the authority to dispose of the sovereignty of Dokdo finally and whether SCAPIN No. 677 can be regarded as evidence of the sovereignty of Korea. To answer these questions, reviewing and analyzing the text of SCAPIN No. 677 and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ith Japan is not enough. We should closely examine whether the post-war occupying authority, the SCAP retained the power to determine the territorial scope of the occupied state at the time of military occupation after World War II.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delve into whether SCAP and the Allied Powers considered Dokdo as the territory that Japan had taken by violence and greed so that she should be expelled from it.
    The argument that SCPAIN No. 677 finally excluded Dokdo from Japanese territory has no grounds under international law because the post-war military occupation authorities did not have the power to dispose of the occupied country's territory. Besides, the argument that SCAPIN No. 677 is direct evidence of territorial title over Dokdo and that the sovereignty over Dokdo was finally decided based on it is not convincing.
    However, it is not reasonable to argue that SCAPIN No. 677 has no relevance or probative value concerning the territorial title over Dokdo. Although SCAPIN No. 677 alone cannot provide conclusive evidence concerning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f Dokdo, it could be convincing evidence showing the Allied Powers' perception at the time that Dokdo was the territory that Japan had taken by violence and greed so that she should be expelled from it in light of the documents such as the Cairo Declaration, Potsdam Declaration and Instrument of Surrender. In other words, SCAPIN No. 677 can play a certain role in proving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Allied Powers at the time that Dokdo should be returned to Korea as Japan had taken it by imperial violence and greed. The fact that the Commander-in-Chief of the Allied Powers excluded Dokdo from Japan's scope of control based on SCAPIN No. 677 while implementing the initial occupation policy toward Japan indicates that the Allied Powers had the perception that Dokdo was taken by Japan's colonial aggression at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