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소월과 바쇼의 자연물 대상화 방식 비교 연구-새의 심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etic objectification of nature object in Kim Soweol's poem and Basho's haiku likenesse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4.01
30P 미리보기
김소월과 바쇼의 자연물 대상화 방식 비교 연구-새의 심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25권 / 125 ~ 154페이지
    · 저자명 : 장보미

    초록

    본 연구는 서정시 화자의 자연관(自然觀)이 미치는 시적 보편성에 주목한다. 바쇼의 하이쿠(俳句)와 김소월의 시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적용되는 장르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자연 대상에 대한 화자의 의식 투영과 함께 시선의 정경화(情景化)를 이끌어냈다는 점을 공통으로 한다. 그 유사성을 밝혀내기 위해 이 글에서 주목하는 대상은 화자가 정한 공간에서 화자의 시선을 대리하는 대상인 ‘새’이다.
    김소월 시에서 새는 인간 활동 및 감정표출의 대리자 역할을 한다. 화자는 시에서 새와 동일시하려는 의도를 표출하며, 구조의 측면에서도 효과적인 ‘의미의 감화’를 유도하기 위해 특정한 사건과 그로 인해 벌어진 주변상황을 단계적으로 노출시킨다. 이 과정에서 새는 다른 자연물과 달리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는 듯 묘사되고, 화자는 직접적인 감정표현을 삼가며 관찰자로서 시의 표면에 자리한다. 바쇼의 하이쿠에서의 새도 자연물 본래의 행동을 유지한다. 다만 하이쿠의 화자는 자연물이 있는 정경과 그가 말하고자 하는 순간을 비교적 객관에 가깝게 묘사하는 집중한다. 김소월의 시와 바쇼의 하이쿠의 화자 모두 대상물을 전면에 내세우며 언술 뒤의 숨은 존재로서 발화를 지속한다. 자연물은 각 작품에 내재된 화자의 의도에 맞추어 다른 자연물이나 감정을 제시하는 시어 사이에 배치된다.
    화자의 자연관을 반영한 대상은 의미 발현양식으로서의 구조 안에서 유의미함을 획득한다. 그리고 대상들은 각 작품의 주제를 형상하기 위한 표현 방식에 따라 그 양상을 조금씩 달리한다. 바쇼의 것이 날것 그대로의 개체성으로 이지적(理智的)인 면모를 강조한다면, 이와 유사한 측면에서 김소월 시와 그 안에 포섭된 대상은 화자와 감정 교류 지속과 그것이 확장된 결과로서 ‘합일(合一)의 지점’을 마련한다.

    영어초록

    This journal focuses on a poetic narrator's view of nature that makes a meaning and similarity of poem's structure. Soweol and Basho are the poets who reflect a view of Oriental nature. In Oriental nature thought, the human body and emotion are assimilated with nature. They use different methods when they create a new poem. But, why do they have a similarity structure of meaning? Find a connecting spot is the goal of this journal.
    Basho's Haiku and Soweol's poem have a structure optimizing the their specific idea. For analyzing a gap, we observe 'bird' and 'crow' each poet assigns the important role. It has a sight which can catch a moment that possibly gives a hint of narrator's feeling. The bird is a kind of substitute realizes their identification. Meanwhile, several established researches of Soweol's poem annalize the relationship linked to traditional narrator and natural things. They have a equal rights in Soweol's poem for sharing their emotion. Actually, this poem written in the first-person who want to deliver his message effectively. Then his purpose reflected in structure of poem.
    Basho's bird is a real living creature acting in its ground. It didn't cry or act for comforting human's sadness. Bird fills a only landscape with their name instead of their real body. Actually, it is a chosen thing that make an image for narrator's needs. Narrator does not borrow serious meaning from bird, he wants to show the scene prepare for Haiku's triangle structure. However, Soweol's bird in his poem express the man's feeling that connect narrator's mind consistently. Bird appear in second verse for emphasizing cutaway and being absorbed to human's feeling. And, it also cry instead of talk for comforting human's sorrow. Bird perched on a twig, but it have an ability of to understand human society. So, Sowel's bird both narrator and reader can match their unspecified experience and emotion without any difficulties.
    Each poem can obtain its subject by mutual exchange of emotion. Soweol's narrator holds a better relation with his bird than Basho's bird, because Basho tries to keep a balance between the man and nature. Each methods make a tension of poem and then make general lyricism from the other genre. So, Basho's narrator emphasizes the coexistence for respecting individual similarity and Soweol's speaker highlights the union for projecting his emo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