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문화원류의 해명을 위한 문화적 기호로서 ‘새’의 상징 (Birds as a Cultural Semiosis in Exploring the Origin of Korean Culture)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4.09
36P 미리보기
한국문화원류의 해명을 위한 문화적 기호로서 ‘새’의 상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56호 / 203 ~ 238페이지
    · 저자명 : 김중순

    초록

    한국문화의 원류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새의 상징은 커다란 자리를 차지한다. 그러나 엄격히 말해 새는 한민족의 원류뿐만 아니라 인류의 시원을 이해하는데 빠질 수 없는 상징 요소이다. 생물학에서도 조류의 지역별 친연성에 대한 연구가 상당부분 진전을 이루고 있다. 이는 각 민족의 문화적 전통에 있어서 새 관념이 형성된 과정을 추적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그렇다고 해서 조류숭배 전통의 연구가 발생론 혹은 전파론에 묶여서는 안 된다. 심층적 상징연구가 병행되어야 한다. 레비스트로스의 구조분석과 엘리아데의 거시적 상징분석은 새의 내러티브를 해석해내는데 상호 보완적이 될 수 있다. 이는 철새가 갖는 생명의 회귀와 풍요의 상징을 읽어내는 기제가 되기도 한다.
    이 논문은 한반도에서 물새류의 철새인 오리가 어떤 상징체계를 통해 등장하는지를 추적하였다. 솔개의 등장을 미분未分의 관념으로, 까마귀와 비둘기의 등장을 분리分離의 관념으로 이해한다면, 철새 오리의 등장을 합일合一의 관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미분이란 전능한 힘의 상징이고, 분리란 환경에 따른 기능의 분화이며, 합일이란 분리를 통해 약화되고 희미해진 과거의 기억을 오리라고 하는 실체에 한꺼번에 투사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새의 상징은 태양과 연계된 사일(射日; Sun-shooting)신화, 삼족오(three- legged crow)신화에서 등장하는 상상의 새를 떠올리게 한다. 솟대와 함께 등장하는 다양한 새의 형태와도 연결이 되고, 부활, 곡식, 알 등의 요소와 더불어 샤머니즘이라고 하는 문화적 맥락에서 유기적인 해석도 가능해진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문화요소들이 별개로 다루어져 커다란 얼개를 엮어내지 못했다. 따라서 한국문화의 원형으로서 새는 단순히 북방기원설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 다른 지역의 현상과 비교 연구를 더욱 강화하여 보편성이 특수성을 어떻게 지배하는지 살필 필요가 있다. 더 나아가 특수성이 보편성과 어떻게 관계 맺기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필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A symbol of the bird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in understanding the origin of Korean culture. Strictly speaking, however, the bird is a symbolic element that cannot be excluded in understanding the inception of the human culture as well as the origin of the Korean. Even in the researches on the biological affinity, quite a lot of progress has been made. This helps in tracing the processes of how the bird-concept has been formed in diverse cultural traditions. For all that, researches on the bird cult should not be restricted by autochthonism or diffusionism. An in-depth study on the symbol is to run parallel. Levi-Strauss and Eliade can also complement each other in being able to interpret specific symbols and meanings. These can read out the symbols of fertility and those of life's recurrence, both of which the migratory birds have.
    This paper is focused on tracing the symbol systems through which ducks, the migratory water birds, and appear in the Korean peninsula. Provided that the appearance of a black kite is understood as a concept of ‘unspecialized phase,’ and that the appearances of a crow and a dove are thought of as a concept of ‘specialized phase,’ the appearance of a migratory duck c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integrated phase’. Unspecialized phase is referred to as a symbol of omnipotence. Specialized phase is the differentiation of th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 Integrated phase is meant to simultaneously project the past memories, which became weakened and faint from differentiation, into an actual bird, a duck.
    Symbols of these birds remind us of ‘sun-shooting’ Myths and imaginary birds such as the three-legged crow. They are connected to various types of birds that appear with the 'Sotdae,' a pole signifying prayer for a good harvest. Together with the elements such as resurrection, crops, ect, a systematic interpretation can be made possible in the cultural context of Shamanism. These elements have so far been dealt with separately and no big framework has been made. Accordingly, the bird as an archetype of Korean culture should not simply remain within the premise of ‘theory of the north region origin.’ By further strengthening other regions' phenomena and comparative studies, we need to study how universality governs speciality. Furthermore, we need to study how speciality establishes relations with universality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