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海嶽傳神帖>에 나타난 詩畵 교섭의 새 양상 (Hae-ak-jeon-shin-cheob(海嶽傳神帖)'s new aspects of the relation between poem and pictur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0.06
33P 미리보기
&lt;海嶽傳神帖&gt;에 나타난 詩畵 교섭의 새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45호 / 403 ~ 435페이지
    · 저자명 : 김형술

    초록

    본고는 『海嶽傳神帖』소재 이병연 시의 성격을 살펴본 것이다. 전통시대 시와 그림은 각기 다른 장르적 한계를 보완하는 측면에서 긴밀한 교섭이 이루어졌다. 그림을 대상으로 한 題畵詩나 시를 대상으로 한 詩意圖 등은 이러한 교섭의 결과로 정착된 각 장르의 하위갈래이다. 『海嶽傳神帖』또한 詩畵 교섭의 역사에서 탁월한 예술적 성취를 인정받은 시화첩이다.
    제화시는 이미 그려진 그림을 대상으로 지어진다는 점에서 본래적으로 作畵의 시․공간과 분리되는 특징을 지닌다. 그러나 『海嶽傳神帖』이 완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海嶽傳神帖』소재 이병연의 시는 매우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첫째, 『海嶽傳神帖』은 이병연과 정선이 금강산이라는 동일 공간을 함께 유람하면서 한쪽에서는 시로, 다른 한쪽에서는 그림으로 금강산을 사생한 결과물로서 作詩와 作畵의 시공간이 동일하다. 둘째, 일반적으로 제화시는 화면의 구성 요소와 긴밀한 연결고리를 가지는 반면, 『海嶽傳神帖』소재 이병연의 시 가운데는 화면과는 이질적인 상황을 형상화한 작품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셋째, 『海嶽傳神帖』에는 이병연의 시선집에 연작시로 수록된 작품 가운데 한 수가 그림과 합첩된 경우가 있다. 이는 금강산을 대상으로 지은 시 연작시 가운데 특정한 부분을 골라 그림에 붙인 결과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海嶽傳神帖』소재 이병연의 시는 제화시가 아니라 산수기행시이다.
    『海嶽傳神帖』은 이병연의 새로운 기획 속에서 탄생한 것이다. 이병연은 스승 김창흡으로부터 문예가 지닌 독자적 의의에 대해 많은 계도를 받은 인물이다. 순수문예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인식했던 이병연은 당대 최고의 화가 정선과 함께 최고의 예술작품(臥遊物)을 만들고자 하는 적극적인 의도와 실천을 통해 『海嶽傳神帖』을 탄생시킨 것이다. 그렇게 탄생된 『海嶽傳神帖』은 시와 그림이라는 개별 예술이 지닌 심미적 효과를 각각 담지하면서도 그 둘이 서로를 상보적으로 견인하여 당대 최고의 예술적 성취로 인정받았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Lee byeong-yeon's poems in 『海嶽傳神帖』. In Joseon Dynasty, poems and pictures were closely connected to cover their limitation of genre. 題畵詩(poems on paintings,) and 詩意圖(pictures on poems) are sub-genres by the connection. 『海嶽傳神帖』 is a book about poems and pictures which is highly recognized in the history of poem-picture genre exchange.
    Lee byeong-yeon's poems in 『海嶽傳神帖』 have characteristics as follows; first, Jeong-seon draw pictures and Lee byeong-yeon composed poems while they traveled Mt. Geumgang. Second, generally poems on paintings have close connection on pictures, but many poems written by Lee byeong-yeon have distinctive features. Third, a poem from series of Lee byeong-yeon's poems about Mt. Geumgang was picked and pasted on a picture in 『海嶽傳神帖』.
    Lee byeong-yeon was taught by Kim chang-heup who emphasized the unique value of literature itself. Lee byeong-yeon realized the value of pure literature, and he worked with Jeong-seon to make a masterpiece.『海嶽傳神帖』 was recognized as the best aesthetic achievement because it doesn't only have unique values, but also it brings the synergy effect of poems and pic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