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퉁구스 샤머니즘에서 장대 위에 있는 새 형상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Bird Figure on the Pole in Tungus Shamanism)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5.02
24P 미리보기
퉁구스 샤머니즘에서 장대 위에 있는 새 형상의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미학예술학연구 / 74권 / 80 ~ 103페이지
    · 저자명 : 이현경

    초록

    본 연구는 퉁구스족 샤먼들의 유물인 장대 위에 있는 새 형상에 주목하여, 우리의 솟대가 갖는 근본적인 형상과 신앙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의 솟대와 굉장히 유사한 모습으로 조성되어 있는 에벤키족 샤먼의 키랴크타(кирякта)라는 새 형상물의 제작 배경과 그 역할을 알고, 나나이족의 인간 영혼 중 하나인 새 형상을 취하고 있는 오미아(омиа)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퉁구스 전체 민족의 신화적인 새 코리(кори)를 고찰해봄으로써 퉁구스 샤머니즘이 갖는 세계관과 영혼에 대한 관념을 파악하였다. 퉁구스 샤머니즘에서 장대 위의 새는 신화적인 새 코리로서 원래 상층세계의 천둥 새, 하층세계의 악마 새와 같이 사납고 폭력적인 존재였지만 샤먼의 영웅적 투쟁으로 이 새는 샤먼의 도우미영이 되었다. 코리는 원래 씨족의 토템으로서 샤머니즘에서 씨족의 조상으로 여겨지면서 그들 민족의 후원자이자 보호자가 되었고, 다시 의례의 목적에 따라 또 민족마다 다르게 뻐꾸기나 황새의 모습인 키랴크타, 오리 가사, 백조 차브 등으로 불렸다. 이 새들은 각 민족이 시베리아라는 추운 생태에서 자생하는 새의 속성을 관찰하여 선택한 종류로써 험하고 복잡한 세계 강을 건너기 위해 특별히 물새와 철새의 모습으로 형상화 되었다. 또한 장대는 수직세계를 관통하는 세계나무로서 투루(туру), 토로(торо), 다루(дару), 오미아 모니(омиа мони) 등으로 불리며 인간의 아기 영혼 오미아의 서식지이며 동시에 세계의 하늘 층을 지키는 새들의 거주지이다. 퉁구스 민족들은 이 장대 위의 새를 주로 샤먼의 의례 장소에 세우고 카믈라니에 동안 샤먼에게 꼭 필요한 도움을 주는 도우미영이자 신령으로 믿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d on bird-shaped poles, a relic of the Tungus shamans,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shape and religious significance of Korean Sotdae. To this end, we first studied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bird-shaped Kiryakta (кирякта) of the Evenki shamans, which is very similar to Sotdae, and its role, and examined the concept of Omia (омиа), one of the human souls of the Nanai people, which takes the shape of a bird. In addition, we examined the mythical bird Kori (кори) of the entire Tungus people to understand the worldview and concept of the soul of Tungus shamanism. In Tungus shamanism, the bird on the pole is the mythical bird Kori, originally a fierce and violent being like the thunder bird of the upper world and the devil bird of the lower world, but through the heroic struggle of the shaman, this bird became the shaman’s helper spirit. Kori was originally a clan totem, and in shamanism, it was considered the ancestor of the clan and became the patron and protector of their people, and again,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ritual and each people, it was referred to differently as Kiryakhta, which is in the form of a cuckoo or stork, duck Gasa, or Swan Chav.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학예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