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조와 새 창조―생태신학적 그리스도론의 시도― (Creation and New Creation: An Attempt for Ecotheological Christology)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2.06
43P 미리보기
창조와 새 창조―생태신학적 그리스도론의 시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학과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과사상 / 69호 / 42 ~ 84페이지
    · 저자명 : 백운철

    초록

    오늘날 지구환경이 심각하게 파괴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응답 할 수 있는 생태신학의 모델은 무엇인가? 이 글은 구약부터 신약에 이르기까지 구원의 역사를 관통하는 주제가 창조와 새 창조라고 보고, 이를 생태신학적 그리스도론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시도한다. 창조질서를 유지하고 쇄신시키고자 하는 구약의 제사와 3대 생태계 보존법인 안식일, 안식년, 희년의 이상이 예수 그리스도의 하느님 나라 선포와 종말론적인 희년의 실천, 그리고 그의 죽음과 부활을 통하여 실현되었다. 이제 예수의 부활한 몸은 그리스도인 공동체를 형성하는 초월적인 근거가 되고 하느님이 모든 것 안에서 모든 것이 되는 하느님 나라의 완성을 향해 모든 피조물을 복속시키고 아우르는 중심점이 된다.
    오늘날 생태 문제의 핵심은 모든 개인과 집단의 행동 그리고 국가의 정책이 무엇보다 경제 논리에 근거해서 인간의 탐욕을 조장하고 있다는 것이다. 경제제일주의가 이처럼 자연의 무분별한 착취와 오염을 가중시키고 결국 죽음의 문화 안에서 최종적으로 죽음을 부르는 탐욕의 논리가 되었다. 경제 논리에 맞서는 대응 방식은 생명을 존중하고 감사히 여기며 탐욕을 제한하는 생명논리다.
    생명의 빵으로 오신 예수는 가장 완전한 생태적 삶을 증거한다. 자연 안에서 모든 생명은 누군가를 먹고 자신은 누군가에게 먹히는 장엄한 생명의 고리를 이어간다. 예수는 생명의 빵으로 오시어 우리에게 먹히고 우리 또한 다른 이에게 먹히도록 초대하신다. 먹고 먹히는 것은 내가 사랑을 받고 사랑을 하고, 내가 남의 희생으로 살고 나 또한 남을 위해 희생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자신이 먹는 것에 대해 하느님께 감사와 찬미를 드리고 자신도 먹힌다는 것에 대해 기쁨과 행복을 느끼는 것이 바로 생태학적인 영성이다. 영원한 생명이란 이처럼 생명을 받고 전달하는 자연의 에코 시스템 안에서 출발한다. 그리스도인은 생명의 영도자이신(사도 3,15) 예수의 생명을 받고 그 생명을 동료 인간 및 이웃 생명들과 나누고 그들을 돌보는 과정을 통하여 자연을 완성하는 부활의 에코 시스템에 참여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What is the model for an ecological theology that could address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today? This thesis will attempt to interpret Creation and New Creation, a theme that penetrates salvation history from the Old Testament to the New Testament, from an ecological christology perspective. The sacrifices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three laws for the protection and the renewal of the order of Creation like the Sabbath, the Sabbatical Year and the year of Jubilee were realized in Jesus’ Proclamation of the Kingdom of God, the practice of the eschatological year of Jubilee and in His Death and Resurrection. Now, the Body of the Risen Jesus becomes the transcendental basis for the formation of the Christian church and God, who is in everything and forms all things for the completion of His Kingdom, becomes the encompassing focal point that subdues creation.
    Now, the Body of the Risen Jesus being the transcendental basis for the formation of the Christian church becomes the encompassing focal point by subduing all creation towards the completion of God’s Kingdom where God may be all in all.
    At the core of today’s ecological problems, there are the behaviors of individuals and interest groups, along with national government policies, that focus strictly on economic gain and promote greed. Thus, the materialistic economic system exacerbates the indiscreet exploitation and contamination of nature. It creates a logic for greed that results in the destruction of lives on Earth and progressively leads to the final end through a culture of death. Therefore, the countermeasure to a materialistic economic system is a culture of life that respects and appreciates all life and limits greed.
    Jesus coming as the Bread of Life represents the perfect ecological life. In nature, a magnificent cycle of life continues by the process of all living creatures consuming and later being consumed. Jesus comes as the Bread of Life to be consumed by us and invites us to be consumed for the sake of others. To eat and to be eaten are nothing but to love and to be loved, signifying that we live by the self-sacrifice of others and in turn we also sacrifice ourselves for others. The act that we give thanks and praise to God for eating and that we feel grateful and happy for being eaten for others is an ecological spirituality. Eternal life begins from this ecosystem of nature. Christians who receive the life of the risen Jesus, the Prince of life(Act 3:15), will participate in the ecosystem of the Resurrection that completes nature through the process of sharing Jesus’ life with other human beings and with our neighbors on this Earth by caring for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