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에 나타난 엄마 찾기 서사와 모성의 구성 (The story of Finding Mothers and the Composition of Motherhood in 『Bird』)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0.03
24P 미리보기
『새』에 나타난 엄마 찾기 서사와 모성의 구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말글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말글 / 84권 / 379 ~ 402페이지
    · 저자명 : 박지영

    초록

    이 연구는 오정희의 소설 『새』를 기존의 가부장적 폭력에 대한 고발이자 그로부터의 탈출로만 읽는 것에서 더 나아가, 여성 화자의 자아 성장을 가능케 하는 내적 자질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한다.
    『새』의 화자는 어른들의 눈길이 닿지 않는 다락방에서 안도감을 느끼고, 사진첩에서 젊은 여성들의 얼굴을 오리며 엄마를 그리워한다. 또래 친구들과는 친밀하게 어울리지 못하며 간혹 부도덕한 면모를 보이기도 하는데, 화자의 결핍된 정서는 아버지의 폭력과 존재하지 않는 어머니가 만들어낸 황폐한 환경에서 비롯된다.
    그리하여 『새』의 화자는 자신을 거쳐 가는 여성들에게서 어머니의 모습을 발견하고자 한다. 엄마를 찾는 서사의 진행에서 화자는 불행했던 옛 기억을 재현하고, 동일시를 꿈꾸던 대상에게서는 무력감을 느낀다.
    진짜 어머니를 찾으려던 화자의 의지는 점차 모성이라는 가치를 내재하는 것으로 변해간다. 이때의 모성은 가부장적 여성 통제의 핵심 기제인 어머니 노릇과는 구별되는 여성주의적 가치이다.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통해 자기를 창조하는 여성의 발달 심리는, 화자의 의식과 행동 변화의 이유를 뒷받침한다.
    『새』의 화자는 엄마 찾기 서사에서 제외된 여성 인물들과의 관계망을 통해 보살핌과 책임 그리고 배려를 배운다. 이는 모성이라는 이름으로 연결 지을 수 있으며, 화자의 자아 성장에 밑바탕이 되어준다. 그동안의 담론이 모성의 자질을 어머니에게만 한정했다면, 이 연구는 그 층위를 보다 확대해 여성성에 대한 새로운 가치 판단으로 접근하려는 의의를 지닌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nal qualities that enable female speaker growth in Oh Jung-hee's novel “Bird”.
    The speaker of the “Bird” misses her mother. And she is bad with her peers, because the speaker's lack of emotion is due to his father's violence and her nonexistent mother.
    Thus, the speaker of the “Bird” seeks to find her mother in the women who appear before her. But it fails.
    The speaker's willingness to find her real mother gradually changes to acquiring the value of motherhood. This motherhood is a feminist value different from maternal ideology. Women's developmental psychology of creating self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s supports the reason for the speaker's change of consciousness and behavior.
    The speaker of "Bird" learns care, responsibility and consideration through her network of relationships with female characters except in the Mother-Finding Epistle. This leads to the name of motherhood, which is based on the speaker's self-growth.
    So far, if the maternal discourse has limited the value of motherhood to the mother, the study takes a broader approach to judging new values for femini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말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