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 <새털옷신랑> 설화 비교 (Comparative Study on Korean and Chinese The Man in Bird Feather Clothes Folktale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24.09
45P 미리보기
한·중 &lt;새털옷신랑&gt; 설화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74호 / 287 ~ 331페이지
    · 저자명 : 황소령

    초록

    이 논문은 한․중 <새털옷신랑> 설화를 비교하여 남성의 성장, 여성의 조력, 남성에게 요구된 재능의 의미, 여성의 발언과 이상적인 남녀 공동체의 구축을 분석했다.
    우선 한국과 중국의 <새털옷> 설화 각각 19편과 39편을 대상으로 삼아, ‘A. 남주인공은 예쁜 여주인공과 혼인한다’, ‘B. 여주인공은 권력자에게 강탈당한다’, ‘C. 남주인공은 새털옷을 이용하여 여주인공을 되찾는다’ 세 단락으로 나누어 공통점과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A단락에서는 두 나라의 설화가 남주인공을 농부, 나무꾼, 사냥꾼으로 <우렁각시> 설화의 화소와 결합하거나 하는 공통점이 있지만, 새샙이 남주인공이 등장하는 유형과 <내복에 산다> 설화와 관련되는 유형은 중국 설화에 없다. 중국 설화의 ‘품팔이꾼’형, ‘풍수쟁이 아들’형, ‘서천문불’형의 A단락은 한국 설화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B단락에서는 두 나라 설화 모두 여주인공의 초상화와 새털옷 제작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지만, 한국 설화는 남주인공에게 글쓰기, 활쏘기 등의 재능을 요구하며, 중국 설화는 농경 능력과 기예 재질을 강조한다. C단락에서 한국 설화는 걸인잔치 화소를 중요하게 다루며, 중국 설화는 걸인잔치 화소가 없어 남녀 주인공의 재회 장면이 풍부하게 묘사된다. 그리고 두 나라 설화의 권력자 징치 부분에서 한국 설화는 권력자가 새털옷을 입고 날다가 떨어져 죽거나 남주인공의 활에 맞아 죽는 화소가 있지만, 중국 설화는 괴물이나 마귀, 요정으로 취급되거나 개에 물려 죽는 화소가 특징이다.
    이어서 남성의 성장과 여성의 조력에 대해 논의했다. 한국 설화는 여주인공의 적극성과 능동성을 강조하는 것과 달리 중국 설화는 남주인공의 적극성과 능동성을 강조한다. 양국 설화 모두 남녀 주인공이 새털옷을 통해 샤먼의 자질을 가지고 ‘자연의 힘’을 접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한국 설화에서는 샤먼적 자질 외에 유교 이념에 따른 이상적 영웅상이 제시되는 반면 중국 설화에서는 샤먼적 성격이 더욱 부각된다. 이들은 모두 ‘자연의 힘’을 인간사회로 끌어와 권력과 폭력을 전복하는 모습을 담고 있다. 또한 두 나라의 <새털옷> 설화에서 여성의 발언이 단순한 가정 내 역할을 넘어 권력 전복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며, 여성의 발언권이 사회적 참여와 권력에 대한 도전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남녀 공동체의 이상적 모습과 대칭성 인류학적 사유를 보여주기도 한다. 다만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한국 설화에서 여성의 발언이 중국보다 더욱 강하게 드러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mpares the Korean and Chinese The Man in Feather Clothes to analyze the growth of man, the help of woman, the meaning of the ability required of man, woman’s assistance,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deal male-female community.
    First, I focus on the 19th and 39th episodes of The Man in Feather Clothes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examined under three motifs: A. “The male marries a pretty female,” B. “The female is stolen by a powerful person,” and C. “The male recovers the female using the bird feather clothes.” Subsequently, I discuss male growth and female assistance. Korean folktales emphasize the activeness of the female protagonists, and pay attention to the act of male protagonists violating a taboo. On the other hand, Chinese folktales tend to ignore the act of vilating a taboo and emphasize the activeness of the male protagonist. In both folktales, the male and female protagonists make contact with the “power of nature” through bird feather clothes, and in Korean folktales, an ideal male protagonist image according to Confucian ideology is presented, whereas in Chinese folktales, a shamanic character is emphasized. They all subverted power and violence by borrowing the “power of nature” and beinging it into human society. In addition, it is noted that women’s assistance in the folktales of the two countries have an effect of subverting power beyond simple roles in the home, and women’s right to speak has the meaning of social participation and challenge to power. Furthermore, it also shows the ideal form of the male and female community.
    In the tales of The Man in Feather Clothes of the two countries, it is emphasized that women’s voices go beyond simple domestic roles to influence the overthrow of power, and women’s right to speak has the meaning of social participation and a challenge to power. Furthermore, it shows the ideal image of a male-female community and the anthropological idea of symm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