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장항리사지 오층석탑의 浮彫像 고찰 (Study on relief of 5th leveled stone pagoda at Janghangri temple site in Gyeongju)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1.06
24P 미리보기
경주 장항리사지 오층석탑의 浮彫像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12호 / 7 ~ 30페이지
    · 저자명 : 김지현

    초록

    장항리사지는 경주 토함산 기슭에 동남향으로 위치한 통일신라시대의 절터이다. 寺址의 명칭조차 알수 없을 만큼 문헌적 자료는 全無하나 금당지와 복원된 서탑, 동탑의 석재편, 불상 그리고 대좌 등의 석조미술품들이 남아있다. 지금까지 개진된 연구에 따르면 장항리사지 동서탑과 불상의 제작 시기는 8세기전반으로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쌍탑임에도 불구하고 相異한 탑부조상, 통일신라시대 쌍탑 가람과 다른 독특한 가람배치 등 장항리사지가 지닌 여러 문제들은 아직까지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이 난제들 중 본 논문은 장항리사지 동서탑의 초층 탑신에 조각된 부조상의 차이에 주목하여 전반적인 고찰을 시도하였다.
    먼저 장항리사지 동서탑은 오층이라는 탑의 조형과 기단부의 결구구조가 동일하다. 특히 결구구조의형식은 8세기 중반 경의 특징을 보여 두 탑이 다른 시기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은 힘들다. 이를 토대로 조각을 분석하면 서탑은 석굴암의 조각 양식을 따르며 적절한 양감을 통한 사실적 조각 표현을 보인다. 반면 동탑은 왕릉의 조각 양식과 관련성을 보이며 과장된 양감과 도식화된 조각이 나타나 서로 다른 특징이 확인된다. 그러나 두 조각 모두 8세기 후반에 나타나는 양식적 요소가 간취되어 결구구조와 탑부조상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경우 장항리사지 동서탑은 이르면 8세기 중반, 늦어도 8세기 후반 경에는 제작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작시기는 같으나 탑에 부조된 조각이 다르다는 것은 탑부조상의 조각가가 달랐음을 의미한다. 즉 쌍탑 조영시 석재를 가공하는 石匠집단과 조각가가 다르다는 뜻이며 이는 역할이 다른 장인들의 분업 가능성을 시사하며 나아가 석장 집단과 조각가들이 한시적으로 작업하였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한시적 작업은 불사 조영시 장인의 운용이 필요에 따라 결합하는 체제였음을 짐작케 하며 한시적 작업을 통한 조각가의 교체는 한 탑을 완성한 후 나머지 한 탑을 제작하는 통일신라시대 쌍탑의 積成, 조영 방법까지 연계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장항리사지 동서탑의 相異한 부조상은 동시대 개인양식의공존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인 동시에 고대 쌍탑의 건탑 체제와 장인의 운용 문제를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영어초록

    Janghangri temple site is the temple site of unified Silla towards southeastern direction at the foot of Toham Mt., Gyeongju. There is hardly any documented data as it is difficult to find out about the site name but there are main hall site and restored stones of western, eastern pagodas and stone arts like statue of Buddha and a pedestal. According to the research stated until now, the production period of eastern and western pagodas and statue of Buddha at Janghangri temple site is generally thought to be around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Despite being twin pagodas, however, many problems that the different relief of the east and the west pagoda at Janghangri temple site and the different allocations of twin pagoda Buddhist temple in Unified Silla, etc are not solved, yet. Among these issues, this study focuses on differences of relieves sculpted at the east and the west pagoda of Janghangri temple site to consider generally. First of all, the east and the west pagoda at Janghangri temple site has the 5levels of same structure and basement construction. Particularly the basement show the character of mid 8th century so it is hard to think that they are constructed on different year.
    As we consider the relief of the west pagoda follows the style of Seokgulam and has realistic expression using appropriate depth. On the other hand, the relief of east pagoda has relation with style of the tomb of the kind and has very much exaggerated depth and sculpture. However, both have factors thought at the end of 8th century so the basement and the pagoda reveals that these pagodas are constructed in mid 8th or latest at the end of 8th century. Therefore, the same construction time but the different sculpture means that the sculpturer were different. That is, the group who process the stones when making this twin pagoda is different from the sculpturer and this suggests possible job allocation of craftsmen and the process was temperately processed. Therefore,this temperate process means that the group of craftsmen came together when the operation must be accompanied by them and the change of sculpturer can be connected to the construction order,sculpture method of the twin pagoda in unified Silla period where the another pagoda is constructed after completion of the other. Therefore the different relief of the east and the west pagoda at Janghangri temple site is the very important data that shows coexistence of personal style in same era and also provide a chance to think about the operation of craftsman as well as structure of pagod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