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寒洲 李震相의 性理學的 ‘心卽理說’ (Hanju Yi Chinsang’s Neo-Confucianism ‘Our Mind is Principl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1.05
32P 미리보기
寒洲 李震相의 性理學的 ‘心卽理說’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자학회
    · 수록지 정보 : 孔子學 / 20호 / 5 ~ 36페이지
    · 저자명 : 윤사순

    초록

    이진상의 ‘심즉리설’은 19세기 주리론적 심설의 정상에 위치한다. 그 심설은 16세기 이황 이후의 『심경』 『심경부주』에 대한 연면한 연찬 등의 심학적 여건을 배경으로 이루어졌다.
    심과 리에 대한 이진상의 견해는 한 몸을 주재하는 심의 성정 통솔의 묘용이 태극이 사물(분수)에 대한 상제적 주재의 묘용과 일치한다는 것이다. 그 심과 태극 리의 주재의 일치는 특히 심의 체가 태극인 점에서 하나로 일원화된다. 그의 이 견해는 마침내 “심이 곧 리이다(心卽理)”라는 명제로 표출되었다.
    이 이론은 심의 ‘기’의 기능을 도외시한 것, 그리고 심과 리의 일치된 주재가 명목 명분상의 주재인 점에서, 관념적 성격을 지녔음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그 심과 리의 ‘주재’가 말(馬)에 대한 인간의 주재요 신하(宰相)에 대한 왕의 주재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 그 이론은 그 시대 지배층의 직무수행에 의한 ‘사회질서 수립’과 ‘왕조의 체제옹호’ 및 ‘국권수호’의 현실적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 이론은 결코 공리공론이 아니다. 육왕의 심설이 심 활동 측면인 ‘의(意)’를 그 기미에서부터 바로잡는(格, 正) 수양에 치중하는데 비해, 이진상의 이 이론은 심의 ‘주재(主宰)’라는 ‘기능과 역할’을 강조하는 특징으로 미루어도 그 점이 분명하다.

    영어초록

    The theory of ‘Our Mind is Principle(心卽理)’ proposed by Yi, ChinSang takes top place in the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on mind analysis focusing on ‘Li’(理, principles). His idea is based on continuous study of Sim-Ch’ing(心經) and Sim-Ch’ing-Fu-Ju(心經附注) after Yi-Hwang.
    Yi, ChinSang assu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mind-and-heart’(心) and ‘Li’(理) as follows in the Heart-and-Mind encompasses Human nature(性) and Human emotions(情)[心統性情]. Human mind and heart presides over Human nature and emotions as Supreme Ultimate(太極) does the each thing. Human mind-and-Heart(心), The Supreme Ultimate(太極), and Li(理) are in consonance with principle roles. Particularly Human mind-and-heart unifies with the Supreme Ultimate as the body of former is the latter. Finally, the writer’s idea was presented as “Our Mind is Principle.”This theory can’t avoid becoming ideal because it disregarded the act of ‘Ki(氣)’ and the concordance of Human heart-and-mind and Li is nominal. The presidence of Mind-and-heart and Li, however, was explained as “The rider’s ‘presidence’ over the horse or The king’s ‘presidence’ over the courtiers.” It refers this theory contains practical purposes to announce “the protection of royal authorities and national sovereignty.” This theory never indulged in academic discussion. While the theory of Mind of Liu-Wang(陸王) concentrates on adjusting the meaning from the indication in the act of mind, Yi ChinSang emphasized the ‘presidence.” This is apparent reason to escape his theory from falling into only superficial academic discus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孔子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