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종직 경학사상의 성리학적 경향과 경세론 (The Neo-Confucian aspect connoted in Kim, Jongjik(金宗直)'s thought of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nd administration theor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6.12
29P 미리보기
김종직 경학사상의 성리학적 경향과 경세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37권 / 103 ~ 131페이지
    · 저자명 : 엄연석

    초록

    본 논문에서는 『소학』을 통한 유학의 도덕적 실천적 측면을 강조했던 김종직이 이를 실천하기 위하여 성리학적 측면에서의 경학사상적 근거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그의 경학사상에 기초한 경세론이 어떻게 일관성 있게 관철되고 있는가 하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 가운데 특히 김종직의 경학사상에 성리학적 요소와 실천 유학적 요소가 어떻게 중첩되어 있는가 하는 점에 유의하고자 하였다. 김종직의 성리학을 중심으로 하는 경학적 태도는 성리학의 중심 개념으로 태극과 리를 강조하거나, 우주론적 변화법칙을 포함하고 있는 『주역』에 주목하거나, 본성과 마음의 수양을 중시하는 부분에서 드러나고 있다. 그는 인심이 유희와 온갖 감각적인 욕망에 이끌리는 것을 경계하면서 공자가 말한 시청언동의 사물(四勿)과 맹자의 마음을 보존함, 방기한 마음을 찾음[求放心]을 수양의 기준으로 강조하면서, 경(敬)과 존양성찰(存養省察)을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적 수양을 강조하였다. 김종직에 있어서 『소학』은 성리학에서 중시하는 마음의 본원을 함양하는 기본서로서의 의미가 강조되면서도, 실천을 위한 규범적 표준 제시와 함께 오륜의 국가 사회적 실현을 목표로 하는 저술이라는 의미가 있다. 그의 경학적 인식에는 마음의 함양을 중심으로 하는 성리학의 수양론적 색채가 짙게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볼 때, 김종직의 학문은 유가 경전과 성리학적 경학에 근거를 두고 있으면서도, 이를 『소학』을 중심으로 하는 도덕적 실천과 정치적 교화를 목표로 하는 경세론을 일관된 체계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essay tries to examine how Kim, Jongjik[金宗直] who emphasized moral practice of Confucianism through the Elementary Learning[小學] concretely suggested the basis of Neo-Confucianism for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for the purpose of practice of it. Further aim of this essay is to propose how administration theory based on his study of Confucian classics is composed with consistency. Among these critical minds especially writer gives attention to the fact how Neo-Confucian factor and practical Confucian element are duplicated in Kim, Jongjik's thought of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On the Kim, Jongjik's attitude of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oriented Neo-Confucianism, emphasis of the Great Ultimate[太極] as the core concept of Neo-Confucianism, understanding of the Book of Changes[周易], and valuation of the cultivation of human nature and mind is contained.
    While alerting that one is tempted to sensuous desire, he emphasized Neo-Confucian cultivation focused reverence and self-cultivation and reflective consciousness[存養省察] underlining Confucius' four prohibition of seeing, hearing, speaking, and behavior, mind conservation[存心] and seeking for the lost mind of Mencius as standard of self-discipline. In case of Kim, Jongjik, the Elementary Learning has the meaning as the basis book through which one cultivates the origin of mind. And it is the work which aims at national social realization of Five Relationships[五倫] in Confucianism alongside suggestion of normative standard for practice.
    In brief, Kim, Jongjik's thought of the study of Chinese classics be richly tinged with the self-cultivational color of Neo-Confucianism oriented cultivation of mind. Whereas in the administration theory he suggested appointment of wise and competent people, acquisition and edification of filial piety and brotherly love together with loyalty and sincerity, communication between sovereign and subject through remonstrance, and strict monitoring of local political affairs etc. as Confucian standard for ideal governance. Look at it this way, on the one hand Kim, Jongjik's study is founded on Confucian scriptures and the Neo-Confucian study of Chinese classics, on the other his learning is that moral practice centered the Elementary Learning and administration theory for political enlightenment constitute the consistent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태동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