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양주 흥국사의 조선전기 목조16나한상 (16 Lohan wooden statures at Hungguksa temple in Namyangju city, in the period of early Joseon dynast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09.06
24P 미리보기
남양주 흥국사의 조선전기 목조16나한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악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악미술사학 / 10호 / 137 ~ 160페이지
    · 저자명 : 정은우

    초록

    16나한이란 玄莊(602-664)에 의해 654년 한역된 법주기로 잘 알려진 『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에 처음 등장한 이래 각 나한들이 가진 신통력과 공덕심에 의해 가뭄이나 재난 시 이를 구제해 줄 것이라는 믿음과 더불어 대중적인 신앙으로 널리 유행하게 된 도상이다. 16나한에 대한 시원은『익주명화록』에 관휴(832-912)의 16나한도에 대한 언급이 있어 이미 당대부터 그려졌음을 알 수 있으며 송대 이후 크게 유행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나한 신앙과 상 제작은 고려시대 부터로 추정되며 나한제나 500나한제 등의 법회가 주로 기우제나 재앙을 물리치기 위한 성격으로 자주 열렸다. 그리고 조선시대 이후에는 조사를 숭배하는 선종의 유행과 유교적 개념의 효사상 등으로 나한상 제작은 더욱 크게 발전하게 된다.
    현재 경기도 남양주시 흥국사 영산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16나한상은 대략 45-47cm 정도 크기에 16구의 나한과 더불어 제석천, 사자, 인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상들은 사실적이면서도 풍부한 얼굴 표정과 다양한 자세, 독특한 지물들 그리고 기다란 신체에 갸름한 얼굴형 등이 특징이다. 이러한 표현들은 15세기 작품인 흑석사(1458년)나 천주사 목조여래좌상(1482년) 등과 신체의 표현이나 얼굴 표현에서 친연성이 많아 양식적 특징에서 볼 때 15세기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나한의 1, 2, 10존자와 제석천상의 대좌 밑에서는 중수, 이전과 관련된 묵서와 원문 등이 발견되었다. 원문의 내용은 순치7년인 1650년에 중수하였음과 중수시 참여한 화원의 이름을 밝히고 있어 적어도 1650년 이전에 재작되었음이 확인된다. 또 하나의 묵서 내용은 “광서 신묘년인 1891년 전라도 고산 안심사 약사암에 있던 16나한상을 경기도 양주 수락산 흥국사로 이안하고 1892년에 점안하였다”는 내용이다.
    이상의 내용들을 종합해 보면 흥국사16나한상은 전라도 고산현 안심사 약사암에 있었던 것으로 1650년 중수되었고, 1892년 현재의 봉안사찰인 흥국사로 이전하여 점안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주관한 인물은 왕실 소속의 상궁들이었음도 확인된다. 그런데 현재 안심사에 남아 있는 碑에는 1600년에 행해진 사찰의 중창과 세조(1455-1468년 재위) 가 안심사에 친필로 유지를 내리는 자세한 내용이 쓰여 있다. 즉 15세기의 안심사는 왕실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양식적으로 15세기적 특징이 있음을 감안해 보면 흥국사16나한상은 세조대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흥국사 16나한상은 전체를 다 갖춘 현존하는 우리나라 16나한상의 가장 이른 예로서 복호나한, 항룡나한 등 중국에서는 오대 이래 송, 요 등지에서 제작되는 16나한의 도상적 특징을 따르고 있다. 이러한 나한 도상은 개별적으로 남아 있는 고려시대나 조선전기의 상들에서도 보이는 특징으로 이미 고려시대부터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16나한상은 특히 조선후기인 17세기 이후 유행하는 형식인 점에서 완전하게 갖춘 흥국사 16나한상은 우리나라 16나한 도상의 성립과 시원을 밝힐 수 있는 기준작으로서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마지막으로 흥국사 16나한상의 실제 승려 같은 모습의 생동감있는 표졍과 자세 등은 나한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이해되며, 시대나 국적에 따른 각기 다른 조형성은 시대적 미감과 미의식에 따른 변화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당대 혜능(638-713)의 진신 진용을 비롯한 승려에 대한 숭배심과 나한의 유행, 그리고 그 특징 등은 동아시아적 전통으로 파악하였다.

    영어초록

    16 Lohan stature appeared at first time in a book titled 『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 a well known as Fa-chu-chi which was translated into Chinese language in AD 654 by Buddhist priest named Hsuantsang (玄莊 602-664). After that, each Lohan stature has been believed to solve drought and disaster problem by its power and great virture, and become popular as a public religious belief. The beginning of Lohan belief and stature manufacturing in our country is assumed in the period of Goryo dynasty, and related Buddhist ceremony such as Lohan festival or 500 Lohans' feast has been provided mainly to wish for avoiding drought weather and for protect disaster situation. In Joseon dynasty, Lohan manufacturing has enjoyed booming due to popularity of the Zen Buddhism respecting religious service and filial piety philosophy originated from Confusian ideas.
    Wooden 16 Lohan statures kept at Youngsanjeon (靈山殿) in Hungguksa temple, Namyangju city, Gyunggi province is approximately 45~47cm high, and consists of 16 number of Lohans, Indra, Guardians. The peculiarity of this stature is realistic and many kinds of plentiful facial expression, various poses, special objects(持物), tall body, an oval face. These expressions are very similar to wooden Buddha seated stature of Heukseoksa temple manufactured in 15 century (AD 1458) or Cheonjusa temple (AD 1482) in the point of body or facial expressions. By observing stylistic characteristics, the manufacturing period of this stature is assumed to 15 century.
    Texts related with site moving and original document were found beneath 1st, 2nd, 10th Lohans and throne of Indra image. Accordimg to the summarized contents, 16 Lohans of Hungguka temple located at Yagsaam in Ansimsa temple, Gosanhyun, Jells Province, were rebuilt in AD 1650. and removed in AD 1892 to the present place - Hungguksa temple of Namyangju city. Also it was found that the organizer were Court ladies belonging to Royal household. A monument remained in Ansimsa temple to the present said that the temple were rebuilt in AD 1600 and the contents of autograph bestowed by the King Sejo (AD 1455 -1468) were written. The Ansimsa temple had strong relationship with Royal household in 15 century. By observing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15 century, 16 Lohan statures in Hungguksa temple is highly assumed to be built around mid-15 century, a period of King Sejo.
    16 Lohan statures in Hungguksa temple is an example of the earliest one existent equipped perfectly in our country, has an iconography feature of Lohan stature holing dish into descending dragon (伏虎羅漢), Lohan stature overwhelming against tiger (降龍羅漢) built in Song, Yeo after Five dynasties in China A realistic feeling of movement expression and pose of Buddist priest of 16 Lohan statures in Hunggugsa temple is understood as a basic feature of Lohan stature. A feeling of respect towards Buddhist priest has led to the popularity of Loh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악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