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上杉神社藏 高麗 阿彌陀三尊圖의 연구 (Illustrated Paintings on Amitabha in Late Goryo Dynasty - Focusing on Illustrated Paintings on Amitabha-Triad in Uesugi Shrine, Yonezawa, Japan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08.06
33P 미리보기
上杉神社藏 高麗 阿彌陀三尊圖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30호 / 11 ~ 43페이지
    · 저자명 : 안재홍

    초록

    세 폭 모두 147×61.5㎝의 비교적 작은 크기의 동일한 비단 위에 그려진 이 불화는, 본존아미타독존도 아래 중앙공간과 관음․세지보살삼존도의 대좌 하단에 개인 시주자의 조성목적을 담은 발원문이 남아 있다. 따라서 이 불화의 성격규명과 함께 연대가 분명하지 않은 동일계통의 타 불화와의 상관관계 및 편년을 설정 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되고 있다.본 불화는 고려 후기인 14세기 전반기에 집중되어 조성된 아미타불화의 흐름을 알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된다. 3존3폭으로 구성되는 본 불화는 전체적인 구성도 특이하지만 각각의 불화가 지니는 본존과 협시의 구분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어 동시대 다른 아미타불화와는 차별되는 형식이다. 아미타․관음․세지의 삼존상은 서로 비등하게 처리했지만 이들 협시보살들은 본존들과는 현격하게 작은 모습으로, 대좌의 중간 높이밖에 되지 않아 협시로서의 성격보다 시주자적인 성격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본존과 협시의 거리감을 강조하는 당시 상하 2단구도라는 일반적인 흐름에서도 특이한 구성이 아닐 수 없다. 또한 본존아미타삼존도에 그려진 두 협시보살은 관음과 세지보살이 아니므로 작은 협시보살 여섯 구와 관음․세지보살을 합하면 아미타불과 팔대보살인 이른바 아미타구존도 형식을 띠게 된다. 이는 삼존형식 혹은 구존도 형식이라는 이중적 의미와 함께 다양성과 복합성을 동시에 지닌 불화라는 점에서 더 큰 가치를 지닐 수 있다. 본 불화의 양식적 특징을 살펴봤을 때, 도상의 엄격한 상하 2단구도 및 본존의 정형화된자세, 인물화와 같은 상호의 표현, 가늘고 긴 손과 손톱, 불의에 나타나는 입체적인 형태의 원형문과 백색계통의 多用, 도식화되고 형식화된 옷 주름의 표현과 매듭 끈 장식의 표현, 육각의 대좌형식 등 현존 고려불화 중에는 찾아보기 힘든 작품이므로 또 하나의 고려불화 양식의 특징을 보여주는 作例라고 할 수 있다. 南宋․元代 寧波佛畵와 양식적인 연관성을 지닌 본 불화는 동시대 고려불화의 계통문제를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것은 고려불화가 후기에 들어오면서 元代 회화로부터도 영향을 받아왔음을 알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것이며, 이러한 회화양식이 본 불화가 조성되어진 시기를 전후로 유행해서 고려․일본 등지에 유입되었음을 짐작케 한다. 이렇게 본 불화가 송․원대 불화로부터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지만 중국불화에서는 볼 수 없는 고려불화만의 특색도 함께 지니고 있다. 따라서 당시 불화양식의 보편적인 수용이라는 측면과 본 불화가 가지는 고려불화로서의 독창성 및 당위성을 함께 재고해야 할 것이다. 본 불화의 도상적 연원은 중국 ‘명주’의 불화화풍, 즉 ‘영파불화’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 시대 고려불화의 인적․물적 교류 또한 이러한 루트를 통해 이루어졌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이 글의 아미타삼존도 또한 정치적으로 원․고려왕실과 관계가 깊었던 권문세가가 아미타신앙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안위와 가문의 영속을 발원하고자 내세관의 일환으로 당시 유행했던 불사와 더불어 제작하였을 가능성이 매우 크며, 또한 경제적으로 세력이 커진 지방호족들의 발원에 의한 것이었을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불화에서는 시주자의 정확한 신분 및 역사적인 활동기록을 알 수 있는 시주명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당시의 정황과 본 불화의 성격을 연관 지을수 있는 권세와 경제력을 지닌 대시주자로서의 서씨 가문 인물을 추측할 수 있으며, 당호와성씨만을 기재한 것으로 보아 서인 가문의 수장격인 여성이 그 一族과 함께 집안의 번영과 來世에 극락왕생을 바라고자 불화를 시주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Composed of three sheets all drawn on silks comparatively of the same size of 147×61.5cm, this Buddhist painting contains the invocation script explaining the purpose of creation by the individual donor both at the center below the main statue of Amitabha and at the bottom of the main seat of Amitabha-triad, Avalokitesvara, Mahāsthāma-prāpta. Hence, the painting is evaluated as valuable work that may figure out the correlation among Buddhist paintings of the same lineage of unknown dates and date back to their origins as well as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Buddhist paintings. This painting serves as basic data to learn the trend of Amitabha paintings intensively pursued in the early 14th century in late Goryo dynasty. Peculiar in its entire structure and yet clearly demonstrating the difference between main statue and minor ones, this painting, made up of three statues in three sheets, shows distinct style than other Amitabha paintings of the same days. The statue of Amitabha triad, Avalokitesvara and Mahāsthāma-prāpta, though rendered comparably among one another, assumes the attitude of a donor rather than a minor Buddha, as the minor Buddhas are as tall only as half the stature of the main notably smaller than the main one, and it undeniably is a distinct structure compared to the general trends of those days, dual structure of tall and short emphasizing distance between main statue and minor statues. Moreover, Since the two minor Buddhas shown in the Amitabha triad painting are not Avalokitesvara and Mahāsthāma-prāpta, if six entities of small minor Buddhas and Avalokitesvara&Mahāsthāma -prāpta are added, it may constitute a style, so called, Amitabha Original set of painting, which is composed of Amitabha Buddha and the Eight Buddhas. This style will assume greater value, being a Buddhist painting that simultaneously encompasses diversity and compositeness along with dual meanings, triad form and original painting form.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its style, this Buddhist painting is an exemplary work of style hard to find among the existing Goryo Buddhist paintings such as clear dualstructure of tall and short, formularized posture of the main statue, portrait-like expression, thin yet long hands and fingernails, dynamic style of circular letters and whitish used much, schematized and formularized depiction of robe wrinkles, knot-decorated expressions, and hexagonal style of the main statue. With its style associated with the that of "Ning Fa Buddhist paintings" in Song dynast and Yuan dynasty of China, this painting serves as invaluable data in understanding the lineage of Goryo Buddhist paintings of the same days. This testifies that Goryo Buddhist paintings got under the influence of Yuan dynasty Buddhist paintings as the time advanced int the later period of the dynasty, and it implies that such painting style merged into Goryo and Japan, etc, being in fashion by the time this painting was created. Though this painting was influenced by the Buddhist paintings of Song and Yuan dynasties in its style in production, it also comprehends features characteristic only among Goryo Buddhist paintings that are not found from Chinese Buddhist paintings. Therefore, along with the universality of then Buddhist painting styl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originality and pride of this painting as Goryo Buddhist painting as well. The artistic origin of this Buddhist painting can be associated with the Buddhist painting style of 'Ming Zhou' of China, i.e., "Ning Fa Buddhist painting style", and it is assumed that the exchanges of human network and materials for Goryo Buddhist paintings in those days also might have been practiced through such channel. Therefore,the Amitabha triad painting in this thesis very probably was produced along with a Buddhist temple, which was a common practice by then as a way of invocation based on Amitabha faith by nobility families for their own proliferation and persistence of their family who have been closed involved in the royal families of Goryo and Yuan dynasties, and it is also sufficiently possible that its creation was patronized by economically grown regional dignitaries. However, this Buddhist painting does not have clear donor record that tells the precise identity of donor and historical activity. For a clue on this issue, someone from the Seo family can be conjectured as the main donor with authority and economic power to be associated with the circumstance of those days and the nature of this painting, and considering the fact that only the circle name and family name were recorded, it is judged that this woman who seems to be the head of Seo family donated this Buddhist painting in a wish for the proliferation of her family and eternal life in Elysium in her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