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구황동 삼층석탑 발견 금제여래좌상 연구 (Study on Gold Seated Buddha in Three Story Stone Pagoda in Guhwang-dong, Gyeongju)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4.03
24P 미리보기
경주 구황동 삼층석탑 발견 금제여래좌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81권 / 281호 / 5 ~ 28페이지
    · 저자명 : 임세운

    초록

    국보 제79호인 구황동 금제여래좌상은 경주 구황동 삼층석탑(傳 황복사지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 중 하나로 12.2cm의 작은 크기에 광배와 대좌는 금동으로, 불신은 순금으로 만들어졌다. 함께발견된 사리함 명문에 의하면, 구황동 삼층석탑은 692년 신문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건립되었고, 706년성덕왕이 불사리 4과, <순금아미타상> 1구, 『무구정광대다라니경』 1권을 추가로 봉안했던 통일신라 왕실발원 석탑이다. 그러나 순금아미타상 1구를 봉안하였다고 기록과는 달리, 석탑 안에서는 실제로 좌상과입상 2구의 금제여래상이 발견되었다. 게다가 두 상이 결한 수인이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그 예를 찾을 수없어 두 상 중 어느 상이 아미타상인지 밝히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영어초록

    Gold Seated Buddha in Guhwang-dong (National Treasure No. 79) is a sarira reliquary discoveres inside the Three Story Stone Pagoda in Guhwang-dong, Gyeongju (known as Three-story Stone Pagoda in Hwangboksa Temple Site). The object is 12.2 cm tall, with its halo and pedestal made of gilt bronze and the body of the Buddha made of pure gold. According to the letters inscribed on the reliquary, the Three Story Pagoda was built to commemorate the soul of King Sinmun (r. 681-692) of Silla in 692. In 706, King Seongdeok (r. 702-737), a son of King Sinmun, placed four sariras, a pure-gold Amitabha Buddha statue, and a volume of the Pure Light Dharani Sutra into the pagoda. What was actually recovered from the pagoda were two golden Buddha statue (one standing and the other seated) instead of a pure gold Amitabha Buddha statue. The hand position displayed by the two statues was something quite new, and different from those found earlier in the country. Thus, it was difficult to know which of the two was really an Amitabha Buddha.
    Carrying out this study, we examined Buddha statues containing inscribed letters among those made during the Tang China period that displayed the same hand position as this one, in order to see which one is an Amitabha Buddha. We identified a total of 21 seated Buddha statues and saw that 15 out of the 21 contained inscribed letters matching those associated with Amitabha Buddha. We also saw that the hand position was one of those that appear in Amitabha Buddha statues which were vogue in central China between the mid-7th and the mid-8th century. Thus, it was found that the seated Buddha was an Amitabha Buddha produced following the rapid adoption of a new Amitabha Buddha statue from Tang China.
    We were able to present a substantial basis for viewing the seated Buddha, which was placed inside the stone pagoda in 706, as the gold Amitabha statue, since Amitabha Buddha statues produced to commemorate the souls of the dead during the Tang China period corresponded exactly to the one produced under the order of King Seongdeok to honor the soul of his dead father.
    Next, we closely examined the structure, patterns of the halo and the pedestal of the golden seated Buddha, along with the style and pattern of the statue. We saw that the body of the Buddha was made of pure gold, which is a really extraordinary thing. As for the halo, it was made using diverse metal craft techniques, including incised holes, line engraving, the use of a striking device, and a stamped design, all of which were in vogue at that time.
    Features such as the plump appearance of Buddha, its soft and natural facial expression, the portrayal of hands full of liveliness, and the robe naturally extended downward, are thought to be exceptional in that no comparable examples have been identified.
    The pure-gold seated Buddha, which was made by a first-rate craftsman on the order of King Seongdeok for his deceased father in the early 700s, was one displaying the unique hand position of an Amitabha Buddha statue, which was newly in vogue at the time in Tang China. It is a precious artifact displaying the advanced sculptural skills of Unified Silla. It also tells us that in its early days Unified Silla maintained close relationships with Tang China and took a proactive attitude to the assimilation of its advanced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