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景福宮 勤政殿 月臺 欄干石柱像 硏究 (A Study on the Stone Step Parapet Sculptures of the Geunjeonjeon Hall of the Gyeongbok Palace)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1.12
24P 미리보기
景福宮 勤政殿 月臺 欄干石柱像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71272권 / 271272호 / 237 ~ 260페이지
    · 저자명 : 이성준

    초록

    경복궁은 조선시대 法宮으로서 최고의 궁궐이었으며, 근정전은 正殿으로 경복궁에서 가장 중심이되는 건물로 신하들의 朝賀를 받거나 政令을 반포하고, 때로는 사신을 맞아들이기도 하던 곳이다. 근정전의 기단부 역할을 하는 月臺는 2단의 석축 방형기단으로 외곽에 난간석을 두르고 있으며, 난간석 위에는 여러 가지 동물이 조각되어 있다. 경복궁은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 270여 년간 폐허로 남아 있다가 高宗代에이르러 재건되었다. 하지만 월대는 재료의 특성상 소실되지 않고 남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난간석주상의 배치원리를 조선 전기의 사회상과 경복궁의 입지, 전체 전각의 배치와연관하여 陰陽五行思想과 裨補厭勝을 적용하여 고찰해 보았다. 사신과 십이지가 방향에 맞게 배치되었다는 기존의 견해와 달리 경복궁 전체의 조영원리였던 역리와 음양오행을 월대 난간석주상의 배치에도 적용하여 배치원형을 추정하였으며, 현재 배치로 변화된 이유를 경복궁 풍수의 단점을 비보염승하기 위한 수단으로 해석해 보았다. 이와 같은 배치는 조선만의 독창성이 표출된 것으로 조선의 건국이념이었던 성리학이건축물에 반영된 예로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난간석주상은 양감, 신체 외곽선과 면의 형태, 조각기법 등의 분석을 통해 Ⅰ양식과 Ⅱ양식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경복궁의 창건 및 재건 시점과 조선시대 기년작과 비교하여 난간석주상의 제작시기를편년하였다. 그 결과 Ⅰ양식은 경복궁이 창건되고 법궁체제가 완비되는 태조~세종연간의 작품으로, Ⅱ양식은 경복궁이 중건되는 고정연간의 작품으로 추정하였다.
    근정전 월대 난간석주상에 표현된 소박하면서도 정겨운 인상은 한국적인 미감을 충실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조선시대 최고의 석조물 중 하나로 평가받아야 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난간석주상의 배치원리는 다른 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조선만의 독창적인 작품으로 성리학적 원리가 작품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에 대한 용례의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의 의의로 삼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Gyeongbok Palace was the main royal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the largest and most sumptuous of the royal palaces of this dynasty. The Geunjeongjeon Hall, meanwhile, was the central edifice in this palace, used as the royal audience chamber where the king met with his court to discuss the affairs of the state or proclaimed an edict,or received state envoys from neighboring countries. Stone step, the two-tiered square stone platform on which the building rests, is surrounded with stone parapets, sculpted with images of various animals. The Gyeongbok Palace was destroyed in a fir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1592-1598), and was then left in ruins for subsequent 270 years. The palace was re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1863-1907). The stone step, however, is from the original construction, as this stone structure survived the fire.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rinciple of the arrangement of the stone parapet pillars of the Geunjeongjeon Hall, representing various animals. This study examines how the arrangement of the parapet pillars reflects considerations based on the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and the traditional geomantic principle known as“biboyeomseung ,”while taking also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Joseon society, the location of the Gyeongbok Palace and the overall distribution of buildings within this palace. This paperargues that, contrary to the widespread belief that the Four Guardian Gods and animals related to the 12 Earth’s Branches are placed in their standard order, their arrangement was influenced by the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which was the fundamental principle for the overall distribution of the Gyeongbok Palace. Meanwhile, the original arrangement of the parapet pillars was changed to the current one, this study argues, in order to remedy flaws in the geomantic disposition of the Gyeongbok Palace, following the principle of biboyeomseung . The Geunjeonjeon Hall’s parapets, original in its style of arrangement, are also significant as an example of architectural integration of principles of Neo-Confucianism, the founding philosophy of the Joseon dynasty.
    The parapet sculptures were divided into two styles, I and II, based on the feeling of volume, outlines of the body and planes and sculptural techniques. Meanwhile, by comparing them with other Joseon stone sculptures with known dates of creation, and basing the estimation on the dates of 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Gyeongbok Palace, a chronological order was established for their dates of creation. Through these steps, style-I sculptures were dated to sometime between the reigns of Taejo (1392-1398)and Sejong (1418-1450), when the whole structure of the palace was completed and style-II sculptures to the reign of Gojong when the palace was rebuilt centuries later.
    The sculptures of the stone step parapets of the Geunjeongjeon Hall, sober yet warm,faithfully embody the native aesthetic of Korea and deserve to be counted among the masterpieces of Joseon stonework. These sculptures are further distributed in a highly original manner, in an order not seen in neighboring East Asian countr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lights it casts on the architectural reflection of Neo-Confucian principles in this original stone edifice of th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