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표지 ‘過₁’의 의미와 용법 분석 (A Study on the Meaning and the Usage of a Aspectual Marker ‘guo₁’)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9.01
23P 미리보기
상표지 ‘過₁’의 의미와 용법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어문논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어문논역총간 / 44호 / 271 ~ 293페이지
    · 저자명 : 홍연옥

    초록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 대부분은 ‘過’를 ‘過₂’의 기능인 경험상을 나타낸다고 알고 있거나 ‘過₁’과 ‘過₂’를 구분하더라도 ‘過₁’의 사용에는 익숙하지 않고 단순히 ‘了₁’과 동일한 기능을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過₁’의 문장에서 기능은 무엇이고, 또 이것이 ‘了₁’과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지니는지를 분석하였다.
    ‘過₁’은 전체적으로 사건을 외부에서 한 덩어리로 인식하게 하는 완결상(perfective)의 기능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了₁’과 동일한 기능을 하였다. 그러나 ‘了₁’과 구별되는 ‘過₁’의 특징은 동사에 [+telic] 자질을 부여한다는 점이었다. 이로 인하여 ‘了₁’에 비해 ‘過₁’과 결합할 수 있는 동사는 제약을 가진다. ‘了₁’은 동작과정을 가진 행위동사뿐만 아니라 달성동사, 동태 겸 정태동사와 결합할 수 있지만 ‘過₁’은 이미 종결점을 지닌 동사와는 결합하지 않았다. 또한 ‘過₁’은 동사와 결합하면 문장에 [+telic] 자질을 부여하는 동시에 한정성 맥락에 출현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때문에 문장에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후속문장이 나오거나 ‘了₂’와 함께 사용되었다. 다른 동작이 실행되었다는 것은 그 전 동작을 한정시켜 주는 효과가 나기 때문에 ‘過₁’의 한정성을 충족시키기 때문이다. 한편, ‘過₁’과 결합하는 동사 또는 동사구의 빈어는 앞 담화에서 이미 출현한 구정보의 성질을 갖는데, 이것은 ‘過₁’이 한정적인 맥락과 구정보의 맥락에 출현하는 특징과 관련이 있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emantic functions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guo1(過₁)’, which has been known to indicate a sense of completion in sentences as an aspectual particle. Most Korean learners of Mandarin Chinese knew simply that ‘guo’ expressed the experiential aspect, which is a function of ‘guo2(過₂)’, or, even if they distinguished between ‘guo1’ and ‘guo2’, were unfamiliar with the usage of ‘guo1’ and merely perceived the word to perform functions identical to those of ‘le1’. Consequently,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functions of ‘guo1’ in sentences and their similarities to and differences from those of ‘le1’.
    In that it is responsible for the function of the perfective aspect, whereby an event is a complete situation as a single unit from the outside, ‘guo1’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perfective aspect as does ‘le1’. However, a characteristic of ‘guo1’ distinguished from those of ‘le1’ is that it assigns a [+telic] feature to verbs. Consequently, in comparison with ‘le1’, ‘guo1’ is constrained in the verbs with which it can combine. While ‘le1’ can combine with not only action verbs, possessing action processes but also achievement verbs as well as dynamic verbs and stative verbs, ‘guo1’ does not combine with these verbs, which already have terminal points in sentences. In other words, because it performs the role of assigning terminal points to verbs, ‘guo1’ combines only with verbs that do not include terminal points in themselves. In addition, when combined with verbs, ‘guo1’ simultaneously assigns a [+telic] feature to sentences and prefers to appear in definite contexts. Consequently, it is used not independently in sentences but together with following sentences or ‘le2’. It is because the performance of another action has the effect of constraining preceding actions, thus satisfying the definite condition of ‘guo1’. This is related also to the fact that ‘guo1’ is often used to refer again to previously mentioned actions or objects. The Objects of verbs or verb phrases that combine with ‘guo1’ have the property of old information that has already appeared in a preceding discourse, which is related to the property of ‘guo1’ that it prefers to appear in contexts that are constrained or involve old information. As a result, ‘guo1’ often appears also in contexts either emphasizing that the action in question has been performed in the discourse mentioned by the other party or rebutting the correctness of the information construed by the other party to be factual.
    Most Korean learners of Mandarin Chinese were familiar only with the usages of ‘le1’ and ‘guo2’ and lacked an understanding of the usage of ‘guo1’. Nevertheless, research and education on ‘guo1’ have been quite inadequate. The discussions on the semantic functions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guo1’ in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aid lear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어문논역총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