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엄주석서에 담긴 六相圓融義에 대한 고찰 (A study on Harmonization of Six Topology(六相圓融義) described within Avatamsaka-Sutra’s commentary script)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8.03
33P 미리보기
화엄주석서에 담긴 六相圓融義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3호 / 251 ~ 283페이지
    · 저자명 : 강기선

    초록

    이 논문은 「화엄주석서에 담긴 六相圓融義에 대한 고찰」이다. 여기서 주목한 것은 크게 2가지측면의 내용이다. 제2장에서는 六相說의 성립배경과 六相圓融에 담긴 含意에 대하여 경전을 중심으로 분석해보았다. 제3장은 비유를 통해 본 六相圓融사상에 대한 검토이다. 여기서는 중국 화엄주석가로 평가받고 있는 지엄스님과 화엄교학의 완성자로 평가받고 있는 법장스님, 그리고 재가자인 이통현 장자 등이 주석한 주석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십지경』초지의 10대 서원 중 제 4서원에 보이는 문구에 기원을 둔 육상설은 세친(世親)이 『십지경론』에서 ‘6가지 종류의 모습(육종상)’으로 이름붙이고 중시한 개념이다. 육상은 총상과 별상, 동상과 이상, 성상과 괴상 등 3가지 서로 반대되는 개념을 말하는데, 이들 육상은 서로 원융무애하는 관계에 놓여 있다는 것이다. 즉, 육상은 서로 걸림없이 융합하는 관계에 놓여 있어 하나가 다른 다섯을 포섭하면서도 또한 여섯이 그 나름의 모습을 잃지 않음으로써 법계연기가 완성된다는 것이, 주석서에 담긴 의미이다. 법장은 이것을 전체적으로 보면 하나의 집(總), 기둥, 서까래를 따로따로 떼어놓고 보면 모두가 그 기능이 다르다(別). 그러나 서로가 다른 것들이(異) 같은 목적을 가지고 한데 모아 협력하면서(同) 하나의 집을 형성하고(成) 흩어지면 부서진다(壞)는 가옥[舍屋]에 비유하여 풀이하였고, 이통현은 이런 육상의 이치를 사람의 몸과 글자에 비유해서 六相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주석서에서 동일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모든 현상은 이 육상을 갖추고 있으며, 이것들은 서로 걸림없이 전체와 부분, 부분과 부분이 일체가 되어 원만하게 융합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육상원융은 이 세상의 모든 존재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것으로 서로 相卽相入하는 공생적인 관계일 때, 모든 법이 자유재재하며, 이것이 곧 중중무진의 법계연기이며 육상원융이라는 것이 화엄주석에 담긴 의미인 것이다. 결국 육상원융의 뜻은 보살의 궁극의 단계인 10지에 들어가기 위한 수많은 수행의 과정 중의 하나로 화엄의 일승원교와 화엄의 법계연기를 드러내기 위한 방편으로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essay is written in order to study on Harmonization of Six characteristics(六相圓融義) described within Avatamsaka-Sūtra’s commentary script. The essay focuses mainly on two perspectives. On the 2nd chapter, the origin of Six characteristics Theory(六相說) and the hidden meanings behind the Harmony of Six characteristics(六相圓融)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ain script. The 3rd chapter revises the concept of Harmony of Six characteristics(六相), in metaphorical perspective. The commentary script referenced in this chapter is the one published by professionals such as Ji-Um, the chinese buddhist script commentator, Bup-Jang, who is considered to have brought the education of Avatamsaka to completion, and Lee Tong-Hyun the lay person.
    『daśabhūmika-sūtra(十地經)』 the first status of the ten Seowon of origin statement that appeared in four Seowon yuksang weonyung Vasubandhu(世親) is 『daśabhūmikasūraśāstra (十地經論)』 in ‘There are six types of figure (yuksang weonyung 六相圓融) to name and a concept 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context of Harmonization of Six characteristics(六相) is used as a way to support the understanding of the Ultimate teaching of Avatamsaka and Dependent origination of the Dharma realm. Moreover, it also serves as a metaphor which shows that the Six characteristics(六相), alongside with Ten Profound Gates of Teachings, forms the backbone structure of The Principle of Casuality of the Universe. The Six Topology indicates three pairs of contrasting themes such as Holistic(總相) and Separated(別相), Unified(同相) and Distinctive(異相), Constructive(成相) and Independent(壞相), and these ideas form a harmonious relationship that does not intercept one another, so that not a single one of them are overwhelming five others, or overwhelmed by five other. In other words, While each themes maintain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they comply to their nature and stay united without interrupting one another. Because of this, it is impossible for everything to exist purely on their own, instead only through the harmonious relationship can something exist in freedom. The key idea of the commentary script is that this is the Ultimate teaching of Avatamsaka, the endless chain of interaction, and the Harmonization of Six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Harmonization of Six characteristics(六相) is one of countless ways of study towards Ten stages, which is the final step for a Bodhisattv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