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芝峯 李睟光의 尙書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Jibong(芝峯) Lee Su-kwang(李睟光)’s Sangseohak(尙書學))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8.06
28P 미리보기
芝峯 李睟光의 尙書學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75호 / 265 ~ 292페이지
    · 저자명 : 강민구

    초록

    본고에서는 지봉 이수광의 상서학을 분석하는 동시에 그의 주장이 조선 상서학에서 점하는 위상과 맥락을 진단하기 위하여 그와 관련된 조선 전반의 상서학 이론을 비교 대조해 보았다. 이수광의 『서경』에 대한 견해는 『芝峯類說』 <經書部 一> 「書經」에서 볼 수 있다. 이수광의 상서학은 당시까지 집적된 조선의 상서학을 토대로 삼고 후대 상서학의 전개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는 점에서 위상을 갖는다. 이수광은 중국 뿐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가장 영향력이 큰 채침의 『서집전』의 권위에 도전하였으니, 이는 우리나라 경학사의 형성과 전개 과정에서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수광은 자신의 상서학을 별도의 저술로 만들지 않고 類書의 일부로 구성하였으니, 유서라는 형식이 다양한 견해의 표출에 유리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로써 이수광의 『지봉유설』이 기존의 상식적 지식의 단순 집적보다는 고루한 인식의 틀을 깨고 회의를 제기하며 대안을 제시하는 진취적 성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수광의 상서학은 『書集傳』의 자구 풀이에 반론을 제기하거나 모호하게 처리된 자구 풀이를 선명하게 설명하는 데에 집중되어 있다. 이수광이 『지봉유설』 전반에서 보여준 지식의 과감한 선정과 수록 태도가 경학 분야에서도 적용되었으니, 기존 조선 학계에서 보지 못한 새로운 상서학이 이수광에 의하여 소개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수광이 『서집전』의 자구 풀이에 대해 異論을 전개할 때 자신의 주장을 直敍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지만 당시로서는 최신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楊愼이나 張居正 등의 주장을 인용하는 방법을 채택하기도 하였다.
    상서학의 논란거리 중 하나는 次序와 관련된 것인데, 채침은 「武成」의 차서에 문제가 있다고 여기고 ‘今考定武成’을 만들었다. 이를 두고 조선의 경학계에서 논란이 전개되었다. 이수광은 洪邁의 주장을 인용하면서 「洪範」과 「武成」의 재편차를 주장하였다.
    『서경』이 산문의 남상으로 간주되는 만큼 이수광도 문학적 관점에서 『서경』에서 유래된 문체에 대한 견해를 제시하였다. 대체로 조선의 문학가들은 『서경』에서 유래된 문체를 절대적 모범으로 극찬하였지만, 이수광은 문체가 사회의 변화와 역사적 상황을 반영하여 발생한다는 견해를 표명하였다. 이와 같이 이수광은 『서경』의 합리적 해석과 지식의 확장을 위해 다양한 문헌적 근거를 수집 소개하고 자신의 독자적 해석을 제시함으로써 조선 상서학의 발전에 기여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Jibong(芝峯) Lee Su-kwang(李睟光)’s Sangseohak(尙書學),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diagnose the status and context of his claim in the Joseon Dynasty’s Sangseohak, I compared and contrasted the theories of the whole Joseon Dynasty’s Sangseohak related to it. Lee Su-kwang’s view of 『Seogyeong(書經)』 could be seen in 『Jibong-yuseol(芝峯類說)』 <Department of the Confucian classics 1(經書部 一)> 「Seogyeong(書經)」. Lee Su-kwang’s Sangseohak was based on the Joseon Dynasty’s Sangseohak, which had been accumulated until that time, and it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later Sangseohak. He challenged authority of Chae-chim’s 『Seojibjeon(書集傳)』 which had been the most influential in Korea, not only in China, so this can be regarded as having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study of Confucianism. And he did not make his Sangseohak as a separate writing, but composed as a part of Encyclopedic Collections. It was judged that the form of Encyclopedic Collections was advantageous for the expression of various views. Thus, it can be found that Lee Su-kwang’s 『Jibong-yuseol』 had a progressive knowledge orientation that breaks the framework of antiquated recognition and raises doubts and suggests alternatives rather than simple summation of existing common knowledge.
    Lee Su-kwang’s Sangseohak was focused on making a counterargument against the interpretation of words and phrases and explaining clearly the ambiguity of it in 『Seojibjeon(書集傳)』. His bold selection and recording attitude of the knowledge presented in 『Jibong-yuseol』 were also applied in the field of the study of Confucianism, so it is meaningful that Lee Su-kwang introduced new Sangseohak which was not seen in the existing Joseon academic world.
    Lee Su-kwang used the method of describing his argument directly when he developed different theory about the interpretation of words and phrases in 『Seojibjeon』, but he adopted the method of citing the opinion of Ming Dynasty Yang-sin(楊愼) or Jang geo-jeong(張居正) which was the latest theories about that time.
    One of the controversial aspects of the Sangseohak is related to order. Chae-chim thought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order of the 「Museong(武成)」 and made the ‘Geumgojeongmuseong(今考定武成)’. A controversy arose in the field of the study of Confucianism. Lee Su-kwang cited the opinion of Hong-mae(洪邁) and claimed the reorganization of the 「Hongbeom(洪範)」 and the 「Museong(武成)」.
    As 『Seogyeong(書經)』 is considered as the origin of the prose, Lee Su-kwang also suggested the viewpoint about the style derived from 『Seogyeong』 in terms of literature. In general, the literary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highly praised the style derived from 『Seogyeong』 as an absolute example, but he expressed the view that the style occurred in social changes and historical situations. Thus, it is meaningful that h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Joseon Dynasty’s Sangseohak by collecting and introducing various literature bases for rational interpretation of 『Seogyeong』 and expansion of knowledge, and presenting his own interpre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