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전기간경도감刊經都監 운용과 상주목尙州牧 (Gangyeongdogam(刊經都監) management andSangjumok(尙州牧) of Early Joseon Dynas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6.08
36P 미리보기
조선 전기간경도감刊經都監 운용과 상주목尙州牧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30호 / 293 ~ 328페이지
    · 저자명 : 최연주

    초록

    간경도감은 세조 7년 6월 왕명에 의해 설치되어 성종 2년 12월에 폐지되었다. 세조-예종-성종을 거쳐 11년간 존치存置된 간경도감은 불전佛典의 간행 뿐 아니라, 불전의 한글 번역과 수륙재 주관 등 다양한 불사佛事를 추진하였다. 불전 간행에만 치중한 것이 아니라 판각과 보관, 인경 등을 주관하면서 수륙재 등 불교와 관련되는 업무에도 관여하였다.
    간경도감 간행 불전에 기재된 각 권의 간기와 필사자를 상호 교차 분석해 본사와 분사의 업무 분담 및 체계를 살펴보았다. 본사와 분사간의 업무 공유내지는 협조 체제가 구축되었다. 본사는 불전 간행의 전반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엄밀한 교정과 언해과정을 담당하였고, 간행 불전의 필사도 담당하였다. 이 때 필사는 각 관청의 하급관리들이 담당하였는데, 필사본이 완성되면 곧 바로 본사 또는 각 지방의 분사로 보내져 판각되었다. 만약 판본에서 오자 및 오류가 발견되면 주로 본사에서 필사하여 본사 또는 분사에서 판각한 것으로 추정된다.
    간경도감 상주분사에서 불전이 가장 많이 판각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그 비중이 높았음을 알 수 있다. 간경도감은 고려시대 대장도감과 분사대장도감의 운영 체계도 일정하게 수용하였고, 각 지방 출판 능력을 적극 활용하였을 것이다. 상주분사는 『고려대장경』조성 당시 상주지역에 설치되었던 분사대장도감의 조직 체제를 계승하였으며, 개령분사대장도감의 판각기능을 흡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주분사에서 업무 총괄은 상주목의 행정 책임자가 관장하고 행정 조직체계를 적극 활용하여 업무를 추진하였을 것이다. 판각은 인적‧물적 자원을 새로이 구성한 별도 장소보다는 각종 자원이 잘 갖추어진 기존 판각공간이나 사원에서 담당하였을 것이다.

    영어초록

    Gangyeongdogam was constituted by King’s command in King Sejo’s 7 June. However, It was abolished in King Seongjong’s 2 december. From Sejo to Seongjong, Gangyeongdogam which was existed during 11 years performed various function like publication of Buddhist script and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 etc.
    I analyze Gangi(刊記) of Buddhist script which was published by Gangyeongdogam. I go through each scribe to find Bonsa(本司) and Bunsa’s(分司) work system. Consequently, Bonsa and Bunsa’s built their own sharing work system. Bonsa planned basic publication and command copying to scribes after proofreading. When the copying ended, copying was sent to Bonsa or Bunsa’s. And Bonsa or Bunsa’s started a wood engraving. If it had errors, it was presumed to begin engraving after copying again.
    Gangyeongdogam partly accepted ‘Tripitaka Koreana’ Daejang- dogam(大藏都監) and Bunsadaejangdogam(分司大藏都監) system. And it tried to apply province’s publication technology. I assume that most importance of the Buddhist script was engraved at Gangyeongdogam-Sangju-Bunsa. Sangju-Bunsa succeeded system of Bunsadaejangdogam’s ‘Tripitaka Koreana’ was installed in Sangju. Also, it developed GaeryeongBunsadaejangdogam(開寧分司大藏都監) engraving skill. Work management was delegated to Sangju administrative officer and used to apply administrative system. Each Resource which was used in engraving would not be transformed newly. Existing facilities and temples would be attributed each resour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