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윤동주 시편 「우물 속의 自像畵」 연구 -「自像畵」, 「自畵像」, 「우물 속의 自像畵」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Yoon Dongju’s Poem “Jasanghwa(A Self-Portrait, 自像畵) in The Well” –Focused on comparison of Jasanghwa(自像畵), Jahwasang(自畵像) and Jasanghwa in the well)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4.09
19P 미리보기
윤동주 시편 「우물 속의 自像畵」 연구 -「自像畵」, 「自畵像」, 「우물 속의 自像畵」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평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평문학 / 53호 / 39 ~ 57페이지
    · 저자명 : 김치성

    초록

    이 논문에서는 윤동주 시의 백미(白眉)인 「자화상自畵像」의 최종 형태를, 「우물 속의 자상화自像畵」로 파악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동일한 내용이지만 다른 형태로 존재하던 세 시편 「自像畵」, 「自畵像」, 「우물 속의 自像畵」를 상호 비교하면서 그 차이점에 유의하였다. 시인의 창작 의도를 파악하는 데 집중하기 위해서였다. 연구 결과, 「自像畵」→「自畵像」→「우물 속의 自像畵」 순으로 창작되었으며, 「우물 속의 자상화自像畵」가 시인이 의도한 최종 작품이라는 사실을 밝혔다. 그리고 단계를 거치면서 점층적으로 시인의 의식이 발전한 것을 보았다.
    구체적으로 먼저 「자상화」는 회화적 재현의 응축된 형태로 나타나는데, “畵”의 ‘그림’ 전략을 통해 구사한다. 하나의 풍경이 담긴 그림을 보여준다. 그 그림은 선명하고 객관적인 상(像)이 아니라, 관찰자인 ‘사나이’의 시선에 의한 주관적 이미지이다. 그리고 끝 부분에서 우물의 상징적 의미가 응축적으로 드러난다.
    다음으로 「자화상」은 성찰적 주체의 탄생을 보여준다. 「자상화」와 달리 빈약하던 감정(“산모퉁이”, “홀로”, “미워져”)이 강화되고, “들여다 보”는 행위가 부각되며, “추억”의 시간성이 부여된다. 그리고 “파아란”이란 색채가 가미되어 내면이 탄생하게 된다. 이 모든 변화는 성찰적 주체가 탄생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때 우물은 단순한 반사체가 아닌 내면의 반영체가 된다.
    마지막으로 「우물 속의 자상화自像畵」는 “우물”이 시의 중심을 차지하며, 집단의 상징적 의미를 다양하게 드러낸다. 우물 속 “사나이”는 개인의 투사가 아니며 집단의 투사이고, 우물 속 공간은 신비로운 공간이다. 시인 윤동주가 ‘거울’이 아닌 ‘우물’을 시의 중심에 놓은 것은 철저히 의도적인 것으로 볼 수 있고, 따라서 윤동주 시편 「우물 속의 자상화自像畵」에서 ‘우물’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해석되어야 할 중요한 대상이 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searched Jahwasang in the well as the final form of Jahwasang(a self-portrait) the best poem of Yoon Dongju. Especially it focused the differences three poems, Jasanghwa, Jahwasang, and Jasanghwa in the well whose title had same meaning but existed each poem respectively, while comparing and analysing these poems. It was to grasp the poet’s purpose for writing. As a studying result, Jasanghwa was written firstly, the next was Jahwasang and the last was Jasanghwa in the well. This paper reveled that the final work which was intended by the poet was Jasanghwa in the well. Also it suggested that the poet‘’s sense developed gradually through some steps.
    To put it concretely, first, Jasanghwa had indicated a condensed form of pictorial reproduction and used a ‘portrait’ tactic of the “picture(畵)”. This poem showed a picture included scenery. The scenery was not an obvious and objective shape but an image of subjective scenery on sight of a male, an observer. Then this poem condensed and indicated symbolic meaning of the well in the last section.
    The next, an introspective subject showed the birth in the poem, Jahwasang. Unlike Jasanghwa, weak emotions such as ‘spur of hill’, ‘along’ and ‘hate’ were reinforced, “a conduct of looking” was highlighted and “memory” gained Zeitlichkeit(時間性). And an inside was appeared with the color “blue”. All the changes affected the birth of introspective subject as elements. At this moment, the well became not a simple reflector but the reflection of the inside.
    Finally, “the well” was located in center and symbolic meanings of community were variously indicated in Jasanghwa in the well. “The male” in the well was a warrior of not individual but community, and space of the well was mysterious space. This paper considered that intentionally the poet, Yoon Dongju, located the well on center of this poem not a mirror, so the well in Jasanghwa in the well is an important object that will be studied from now 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평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9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