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왕오천축국전』의 문학적 성격과 삽입시의 이미지 고찰 (A Study on the WangOcheonchukkukJeon as a Literature and the Image of the inserted poem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3.02
28P 미리보기
『왕오천축국전』의 문학적 성격과 삽입시의 이미지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과 교육 / 25호 / 341 ~ 368페이지
    · 저자명 : 정병헌

    초록

    『왕오천축국전』은 출발과 귀환의 여정을 담은 훌륭한 기행수필이다. 그 글쓰기 방식이 어떠한가는 이 작품이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가를 말할 뿐, 이 작품이 수필인가 아닌가를 결정하는 요소가 될 수는 없다. 수필은 허구와 상상력을 지향하는 극단의 문학과 실제와 보고를 지향하는 극단의 실용문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수필은 문학과 비문학의 접점에 놓인다는 점에서 양면을 아우르는 언어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왕오천축국전』은 그 첫 기록의 상당한 부분을 잃은 채 우리에게 남겨진 수필문학인 것이다.
    『왕오천축국전』의 글쓰기는 자신의 주관을 철저히 억누른 채 사실만의 보고와 기록에 치중하고 있다. 억눌려진 주관적 정서는 중간중간 삽입된 시에서 집약되어 분출되고 있다. 이러한 글쓰기 방식은 인도의 구법(求法) 여행을 기록한 글에서 시도되었던 방식이다. 혜초는 다양한 글쓰기 방식 중 자신에게 가장 합당한 글쓰기 방식을 선택했던 것이다. 이러한 글쓰기 방식은 변방인 신라에서 온 젊은 승려의 신분에서 초래되는 거부감이나 이질감을 해소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왕오천축국전』은 독서의 측면에서 그 이전에 이루어진 중국 승려의 여행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한정되어 있다. 먼 이역의 굴 속에, 전체도 아닌 부분만의 모습으로 남겨진 것도 그를 둘러싼 환경에서 연유했을 것이다. 혜초는 자신이 처한 환경을 철저하게 인식하고, 힘든 여정을 통과한 젊은 수도승으로서의 모습과 인간적인 감정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제시했던 것이다. 이를 통하여 그는 힘든 과정을 극복한 승려로서의 위상을 확립할 수 있었다.
    혜초는 그의 『왕오천축국전』에 다섯 편의 시를 남김으로써 우리 한시사의 초기를 풍요롭게 장식하였다. 그의 시는 현장과 직접 맞닿은 지점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초기 시의 제작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시는 본래 현장 속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질박하지만, 강렬한 감정의 표출을 보여준다. 혜초의 시는 전문적인 시인으로서의 세련화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오히려 초기 시가 지향하는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그의 시는 근원에서 멀리 떨어진 데서 오는 분리와 허무감, 그리고 이를 극복하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혜초 시의 이미지는 고향을 떠나고, 스승을 떠나고, 불법을 떠난 지점에서 오는 허무감을 구체화한 대상으로 형상화 되어 있는 것이다.
    혜초의 시는 시가 이루어지는 현장과 그 시를 직접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우리 문학사에서 소중한 자료로 인식된다. 설화 속에 등장하는 고대의 시가나 을지문덕의 시만으로 만족했던 우리의 시문학사는 혜초의 시가 있음으로써 보다 풍요로워질 수 있게 된 것이다.

    영어초록

    WangOcheonchukkukJeon is an excellent travel essay on the whole journey from departure to return. The essay is between extreme literature- aiming for fiction and imagination- and extreme practical writing -aiming for reality and report. The essay has a linguistic structure that combines both sides because it is located in between literature and epigraphy. WangOcheonchukkukJeon clearly shows this character of essay, even though most of its first draft is missing.
    The writing style of WangOcheonchukkukJeon strictly oppressed the writer's personal feelings and mainly focused on reporting and keeping records of facts. Oppressed emotions, however, are burst out during the inserted poems. Hyecho chose the most suitable writing style. This writing style is effective in reducing alienation and objection which can be caused by the fact that he was a young monk from the foreign country, Shin-la. Hyecho presents the character of a young monk who understands his circumstances and goes through hard journey, and he eventually combines it with his personal feelings. Throughout this process, he establishes his status as a monk who overcomes the arduous process of journey.
    Hyecho wrote 5 poems in WangOcheonchukkukJeon and it made the early stage of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more prosperous. His poetry shows the making process of early poetry; it was developed at the very scene where it actually happened. As simple as the poetry may be, since it is made through the real experience, it expresses strong emotions at the same time. The image of Hyecho's poems shows emptiness that he felt because of the distance from the origin and also his will to overcome it. He directly presents his emptiness from leaving his hometown and teacher and also establish the image of confronting his emptiness.
    The poetry by Hyecho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history of our literature because it clearly shows the poetry and the actual scene where the poetry is made. Our literary history, which only encountered old poems from tales or poetry by Euljimunduk until the discovery of WangOchenchukkukJeon, could become more enriched by Hyecho's po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과 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