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일 무대복식 문화의 경계와 삼투에 관한 연구 -가면극⋅경극⋅가부키에 체현된 문화의지와 미의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marcation and the Osmosis i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Stage Costume Culture -Focused on Embodied Culture Will & Aesthetic Consciousness in Mask Play, Peking Opera and Kabuki-)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9.06
18P 미리보기
한⋅중⋅일 무대복식 문화의 경계와 삼투에 관한 연구 -가면극⋅경극⋅가부키에 체현된 문화의지와 미의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5권 / 2호 / 361 ~ 378페이지
    · 저자명 : 양정원, 이미숙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미학의 관점에서 각 민족 정체성의 가장 근원이며 미의식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문화의지’를 통해 한⋅중⋅일 전통극의 무대복식에체현된 미의식을 살펴봄으로써 세계무대에서 차별화된 우리 가면극 복식의 위상을 재정립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선행연구 및 관련 서적 등의 자료 분석을 통해 국가별 ‘문화의지’로 대별되는 접화의지, 동화의지, 응축의지 등과 관련성이 있는 미적특질을 살펴보고 미적범주를 설정하여 미적특성을 도출한 후, 이를 토대로 한⋅중⋅일 전통극 복식의 미의식을 고찰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토대가 되는 ‘문화의지’의 개념은 예술철학자 최광진의 연구를 재구성하여 분석틀로마련하였다. 한편 무대복식도감에서 충족할 수 없는형상자료의 부재는 DVD, 유트브 자료 등을 통해 보완하였다. 한⋅중⋅일 국가별 문화의지에서 도출된 미의식은 한국 가면극은 생명의 율려미, 신명의 해학미, 광명의 소색미, 무기교의 소박미 등으로 나타났으며중국은 추상적 사의미, 위용의 숭고미, 음양의 상징미, 현유의 여백미 등이며, 일본은 절제된 단순미, 풍류적응축미, 서정적 습색미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세계무대에서 차별화된 우리 가면극 복식의 위상을 재정립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인합일의 미학에서 도출된 생명의 율려미, 신명의 해학미, 광명의 소색미, 무기교의 소박미 등의 우리민족의 고유한 미의식을 토대로 가면극 복식의 고유한 심미성을 살리려는 재창조 작업이 필요하리라 본다.
    이상의 연구는 한⋅중⋅일 국가별 ‘문화의지’로부터파생된 미의식의 차이를 통해 삼국의 전통극의 서로비교할 수 없는 고유한 가치를 존중하고 아울러 우리가면극 복식의 예술학적 가치를 체계화함으로써 한국무대복식사의 학술적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efine the status of the Mask-play costume differentiated on the world stage by looking at the aesthetic consciousness displayed in the stage costume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traditional plays through the ‘culture will’,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source of each nation’s identity and a root of aesthetic sense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aesthetics.
    Based on the analysis of data such as prior research and related books, the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the aesthetic qualities related to Jeob-hwa will, Dong-hwa will, Eung-chug will etc., which are classified as ‘culture will’ of different countries and after examin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setting up an aesthetic categor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re derived, based on this, we examine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traditional Korean, Chinese, and Japanese plays. The concept of ‘culture will’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research was reconstructed from the research of art philosopher Choi Kwang-jin and prepared as an analysis frame The absence of feature data that cannot be satisfied in the stage-costume-book related to traditional plays in the three countries was supplemented through DVD and YouTube data.
    The aesthetic consciousness derived from the ‘culture will’ of Korea, China, and Japan was presented by the Yulryeo-Mi of Life, Haehak-Mi of Shin Myung, Sosaec-Mi of Gwangmyeong, Sobak-Mi of Mugigyo while China is characterized by Saui-Mi of Chusang, Soongo-Mi of WiYong, Sangjing-Mi of Eum yang, Yeobaeg-Mi of Hyeon-Yu and Japan is characterized by Dansun-Mi of Jeolje, Eungchuk-Mi of Punglyu, Seubsaek-Mi of Seojeong. Based on this, as a way to redefine the status of Korean mask play costumes differentiated on the world stage, it is necessary to recreate the unique aesthetic sensibilities of Korean people such as the Yul Ryeo-Mi of Saengmyeong, Hae Hak-Mi of Sinmyeong, Sosaec-Mi of Gwangmyeong, Sobak-Mi of Mugigyo.
    The above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as an academic basis for the Korean stage costume history by respecting the unparalleled unique values of traditional plays of the three countries and also organizing the artistic value of the Korean mask plays through the differences in aesthetic consciousness derived from the ‘culture will’ of Korea, China and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