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화문구』에서 삼인불성의 용례와 해석에 관한 연구 - 「석방편품」의 내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age and Interpretation of Threefold Buddha Nature in Fahuawenju - Focusing on The Chapter Two on Skillful Means -)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3.08
27P 미리보기
『법화문구』에서 삼인불성의 용례와 해석에 관한 연구 - 「석방편품」의 내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107호 / 161 ~ 187페이지
    · 저자명 : 오진석

    초록

    천태 지의는 『법화문구』에서 삼인불성(三因佛性)을 사용하여 『법화경』의 경문의 의미를 해석하고 있다. 전체 28품 가운데 11품에 해당하는 『법화문구』의 경문 해석에서 삼인불성의 다양한 쓰임이 보인다. 경문의 맥락상 그 의미에 따라 정인‧요인‧연인이 각각 따로 쓰이기도 하고, 더불어서 함께 하나로 쓰이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묘법연화경』 제2 「방편품」에 대한 『법화문구』의 삼인불성의 용례를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법화문구』 「석방편품」에서의 삼인불성의 용례는 그 용례가 쓰이는 행간의 전후 맥락에 따라 다섯으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용례는 원인(圓因)과 인(因)의 측면, 세 번째 용례는 인(因)과 과(果)의 모든 측면 그리고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용례는 일불승의 개현으로 드러난 중도실상으로서 체(體)의 측면을 강조하고자 삼인불성의 개념을 가져와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원교(圓敎)에서의 인(因)‧과(果)‧체(體)의 측면을 함의한 삼인불성의 용례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삼인불성 가운데 정인불성의 체(體)가 중도(中道)의 의미를 함의하고 있음을 명확하게 논증하고자 하였다. 천태 지의는 용수의 『중론』의 삼제게의 게송을 장교(藏敎)‧통교(通敎)‧별교(別敎)‧원교(圓敎)의 사교(四敎)로 해석하여 『중론』에는 공‧가‧중의 의미가 다 있으며 그 가운데에서 중도로 귀일해야 함을 말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천태 지의가 정인불성과 삼인불성의 체(體) 역시 중도실상(中道實相)으로 보고 있음을 『법화문구』 「석방편품」의 삼인불성의 용례 분석의 내용으로 논증하였다.

    영어초록

    In Fahuawenju, Zhiyi uses the Threefold Buddha Nature when annotating the meaning of the Lotus Sutra. In eleven chapters of the Lotus Sutra, the usage of the Threefold Buddha Nature appears. According to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Lotus Sutra, Zhengyin [正因], Liaoyin [了因], and Yuanyin [緣因] are used separately or together as one. Thus, this paper classifies the usage of the Threefold Buddha Nature in Chapter Two of Fahuawenju.
    The usage of the Threefold Buddha Nature in Chapter Two of Fahuawenju is categorized in five depending on the contextual meaning. The first and the second usages emphasized the perfect causes [圓因] and the cause [因] in general meaning. The third usage emphasizes the causes and results [因果]. The fourth and the fifth usages emphasized the essence [體] of the true aspects of the Middle Way.
    Based upon this analysis of the Threefold Buddha Nature, Chapter Three of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essence of the Buddha Nature as Zhengyin contains the meaning of the Middle Way. Tiantai Zhiyi interpretes the Three Truths Verses [三諦偈] in Nagarjuna‘s The Treatise on the Middle Way [『中論』] with the four teachings [藏通別圓] to demonstrate that The Treatise on the Middle contains the truth of Emptiness [空], Nominal designation [假] and Middle [中]. This paper explicates, with the analysis of the usage of Threefold Buddha Nature, that Tiantai Zhiyi regards the essence of the Buddha Nature as Zhengyin and the Threefold Buddha Nature as the True Nature of the Middle Way [中道實相].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