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안선 출수 금속제 삼구족三具足을 통해 본 일본 가마쿠라 시대의 차문화 (A Study of Japanese Tea Culture in the Kamakura Period seen through the Metal Samkujok[三具足] from the Sinanshipwreck)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4.08
35P 미리보기
신안선 출수 금속제 삼구족三具足을 통해 본 일본 가마쿠라 시대의 차문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9호 / 153 ~ 187페이지
    · 저자명 : 김성아

    초록

    이 글은 신안선에서 출수된 금속제 삼구족三具足을 통해 일본 가마쿠라[鎌倉] 시대 삼구족이차도구로 유통되고 사용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삼구족은 화병, 향로, 촛대로 구성된공양구이다. 중국에서는 원래 종교 공양구로 사용되었으며 일본 무로마치[室町] 시대에는 무가武家 의 진설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신안선에서 출수된 금속제 삼구족은 그 크기가 작고 수량이 많지 않은 점으로 미루어 선종 사원과 무가의 차도구로 이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일본 가마쿠라 시대는 송의 말차 문화가 유행하였으며 그 중심에는 선종의 승려들과 무사들이 있다.
    선승들은 수행과 함께 대중들을 만나는 모임에도 차를 사용하며 사원의 여러 공간에서 차회가이루어졌다. 선원청규禪苑淸規 에는 선종 사찰에서 대중들과의 차회에서도 삼구족을 사용한 기록이 나타나 신안선 출수 삼구족 역시 차도구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선종 사찰의 차문화는선승들을 통해 무사들에게 전파되고 유행하였다. 무사들은 송대의 한시회, 투차를 즐겼으며 중국에서 수입한 차도구를 활발하게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밝힌 신안선 출수 금속기의 공양구, 실내 진설의 용도를 넘어 이를 차도구의 시각으로 그 사용 범위를 확장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 시기 선승과 무사와의 관계, 무사들이 삼구족을 수용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일본 다도문화 성립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는 가마쿠라 시대 차문화를 이해하도록 하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distribution and use of Samgujok as a tea tool during the Kamakura period in Japan, based on an analysis of metal Samgujok from the Sinanshipwreck.
    The Samgujok is an offering tool consisting of a vase, an incense burner, and a candle holder. It was originally used as a religious offering in China, and it was also used as an objet for Samurai families during the Muromachi period in Japan. However, consideirng the the small size and small quantity of metal Samgujok from Shinanshipwreck, it is possible that they were used as tea utensils for Zen temple and Samurai. Zen monks and Samurai were at the center of tea culture during the the Kamakura period. Zen monks used tea not only for training but also for meetings with the public, and tea ceremonies were held in various areas of the temple.
    The record of Seonwoncheonggyu shows that the Samgujok were used for the tea ceremonies with the public at the Zen Buddhist Temple, so it is possible that the Samgujok of Shinanshipwreck were also used as tea utensils. Likewise, the tea culture of Zen Temples was spread to Samurai through zen monks and became popular. Among samurai, the Hansi and Tucha of the Song Dynasty were also popular, and tea tools imported from China were actively used.
    In this study, we seek to expand the perspective on use of Samkujok from Sinanshipwreck as a tea utensils, beyond the use of an offering and indoor objet as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Zen monks and Samurai of this period, which can be found in the Samgujok, and the various uses of the Samgujok by the Samurai, we seek to understand the tea culture of the Kamakura period,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egining of Japan's unique tea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