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퇴계학파 존재 갈암 항재 삼형제의 인물성동이론 고찰 (A study on the theory of Inmulseongdongi of the three brothers of Jonjae, Galam, Hangjae in the Toegye's school of the 17th centur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0.11
33P 미리보기
17세기 퇴계학파 존재 갈암 항재 삼형제의 인물성동이론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43호 / 313 ~ 345페이지
    · 저자명 : 안유경

    초록

    본 논문은 17세기 퇴계학파의 일원인 存齋(李徽逸, 1619-1672)와 葛庵(李玄逸, 1627~1704)과 恒齋(李嵩逸, 1631~1698) 삼형제의 인물성동이론을 비교 고찰한 것이다.
    퇴계학파 인물성동이론의 발단은 17세기 중반 이후에 존재ㆍ갈암ㆍ항재 삼형제 사이의 논변에서 시작된다. 존재와 갈암은 異論을 제시하여 同論을 주장하는 동생 항재와 토론을 벌임으로써 인물성동이론을 중요한 쟁점으로 등장시킨다. 이들의 논변은 주로 ‘사람과 사물의 성이 같은지 다른지’ 또는 ‘사람과 사물이 오상의 덕을 가지고 있는지’의 문제에 집중되어 있다.
    물론 이것은 18세기 초부터 활발하게 일어난 기호학파의 인물성동이론이 未發心體의 純善 有善惡이라는 심의 문제로 심화되어 학파의 분기를 초래할 만큼 첨예한 논쟁으로 전개된 것과는 구분된다. 이들 삼형제의 인물성동이론은 퇴계학파 인물성동이론의 발단을 장식한 것으로써 그 범위나 규모는 비록 작았으나, 그 쟁점의 논리적 전개는 분명히 드러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mpares and examines the theory of Inmulseongdongi of the three brothers, Jonjae(Lee Hwi-il, 1619-1672) and Galam(Lee Hyun-il, 1627-1704) and Hangjae(Yi Sung-il, 1631-1698), who are members of Toegye school in the 17th century.
    The beging of Toegye's Inmulseongdongiron begins with the argument between the three brothers, Jonjae and Galam and Hangjae, after the mid-17th century. Jonjae and Galam presented 'different theory' and held discussions with his younger brother Hangjae, who argued for 'same theory', making the theory of Inmulseongdongi an important issue. Their arguments are mainly focused on the question of whether people and things of nature have the same or different or whether people and things have the five constant virtues.
    Of course, this is different from the fact that the Kiho's school of Inmulseongdongi theory, which has been active since the early 18th century, it is distinguished from the fact that it was deepening into a matter of mibal good and evil and developed into a sharp argument that led to a school branch. Therefore, although the scope and scale of these three brothers' Inmulseongdongi theory were small, the logical development of the issue was clearly revea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