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5세기 후반 아미타여래삼존상의 제작 경향과 수륙재 (Trends in the Creation of Amitābha Triad Statues in the Late 15th Century and Suryukja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5.02
31P 미리보기
15세기 후반 아미타여래삼존상의 제작 경향과 수륙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미술사학 / 20권 / 73 ~ 103페이지
    · 저자명 : 이서희

    초록

    이 글은 15세기 후반에 제작된 아미타여래삼존상의 새로운 제작 경향을 확인하고 수륙재와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15세기는 아미타여래삼존상의 제작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두 가지 주요 경향이 주목된다. 첫째, 아미타여래삼존상은 중대형으로 제작되어 주불전의 중심 존격으로 조성되었다. 이는 아미타여래삼존이 당시 신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대세지보살과 함께 지장보살을 협시로 한 아미타여래삼존상이 활발히 조성되었다. 이는 당시 불교 의례와 신앙에서 지장보살의 역할이 중요했음을 보여준다.
    수륙재는 망자의 극락왕생과 산 자의 현세안녕을 기원하는 두 가지 핵심 목적을 지닌 불교 의례였다. 이는 15세기에 간행된 『天地冥陽水陸雜文』과 『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의 제목에서 하늘[天]과 땅[地, 지옥], 영혼의 세계[冥], 사람의 세계[陽]를 모두 아우르는 것에서도 확인된다. 무엇보다 『천지명양수륙잡문』에는 아미타여래삼존과 정토를 상징하는 변상도가 처음으로 등장하며, 지장신앙과 관련된 소첩을 통해 지장보살의 역할도 강조된다. 이를 바탕으로 15세기 후반에는 아미타ㆍ관음ㆍ대세지 삼존상뿐만 아니라 명부의 권위자인 지장보살이 극적인 요소를 더하며 아미타ㆍ관음ㆍ지장 삼존상 역시 중대형으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수륙재를 위해 아미타여래삼존상을 조성한 사례로 보은 복천사와 강진 무위사가 주목된다. 복천사는 1451년 세종의 수륙재를 위해 아미타ㆍ관음ㆍ대세지 삼존상을, 무위사는 1478년 수륙사 중창을 위해 아미타ㆍ관음ㆍ지장 삼존상을 조성했다. 이를 통해 15세기 후반에는 수륙재를 거행하면서 대세지보살 또는 지장보살을 협시로 한 아미타여래삼존상이 모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15세기 후반 아미타여래삼존상은 수륙재 성행과 맞물리며 전각에 봉안되는 중심 존격으로 조성되었다. 그동안 현존하는 사례의 부족으로 주목받지 못한 조선 전기 불상의 조성배경과 현상 변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는 조선 전기 불상을 보다 심도 있게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new trends in the production of Amitābha Triad statues in the late 15th century and examine their connection to Suryukjae.
    In the 15th century, the production of Amitābha Triad statues was actively carried out, with two main trends standing out. First, the Amitābha Triad statues were created in medium to large sizes and became the central figures enshrined in the main hall, signifying the significant role of the Amitābha Triad in the religious movements of the time. Second, alongside Mahāsthāmaprāpta, the inclusion of Kṣitigarbha Bodhisattva as an attendant bodhisattva in the Amitābha Triad became widespread, reflecting the important role of Kṣitigarbha Bodhisattva in the Buddhist rituals and beliefs of the period.
    Suryukjae was a Buddhist ceremony with two main objectives: the salvation of the deceased to the Pure Land and the well-being of the living in this world. This dual purpose is reflected in the titles of texts published in the 15th century, such as 『Cheonji Myeongyang Suryuk Japmun(天地冥陽水陸雜文)』 and 『 Cheonji Myeongyang Suryukjae Ui Chanyo(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which encompass heaven (天), earth (地, including hell), the world of spirits (冥), and the world of the living (陽). Notably, 『Cheonji Myeongyang Suryuk Japmun』 introduces for the first time a representation of the Amitābha Triad and the Pure Land, and emphasizes the role of Kṣitigarbha Bodhisattva through a related text. Based on these factors, I posit that in the late 15th century, not only the Amitābha, Avalokiteśvara, and Mahāsthāmaprāpta Triad, but also Kṣitigarbha Bodhisattva—who held authoritative power in the realm of the dead—may have been depicted in medium-to-large statues, enhancing the dramatic nature of the ritual.
    Notable examples of the creation of Amitābha Triad statues for Suryukjae are found in the temples of Bokcheon-sa in Boeun and Muwi-sa in Gangjin. In 1451, Bokcheon-sa commissioned the Amitābha, Avalokiteśvara, and Mahāsthāmaprāpta Triad statues for King Sejong’s Suryukjae, while Muwi-sa commissioned the Amitābha, Avalokiteśvara, and Kṣitigarbha Triad statues in 1478 for the reconstruction of Suryuksa. These examples confirm that, in the late 15th century, Suryukjae rituals involved the creation of Amitābha Triads with either Mahāsthāmaprāpta or Kṣitigarbha as the attendant bodhisattvas.
    In the late 15th century, the Amitābha Triad statues became central figures enshrined in the main hall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Suryukjae rituals. The attempt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ir creation and the changes in the phenomenon of early Joseon Buddhist statues, which had not received much attention due to the scarcity of existing examples, will contribute to a deeper interpretation of 15th-century Buddhist sculp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