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궁중 정재 여령(女伶)의 황초삼(黃綃衫) 연구 (A Study on the Hwang-cho-sam for Jeongjae Yeore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3.03
20P 미리보기
조선후기 궁중 정재 여령(女伶)의 황초삼(黃綃衫)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복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복문화 / 26권 / 1호 / 39 ~ 58페이지
    · 저자명 : 이희정, 최연우, 박윤미

    초록

    황초삼(黃綃衫)은 조선후기 궁중 무희인 여령(女伶)이 정재(呈才)를 공연할 때 입던 옷이다. 일반 정재 여령용과 춘앵전 정재 여령용으로 구분되고, 소매 모양, 길이, 구성 품목과 명칭, 소재에서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18C말~19C의 궁중 연향 기록인 의궤와 그림 자료를 중심으로 이 두 황초삼의 시기별 형태 변화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용 황초삼의 명칭은 ‘황초삼’, ‘황초단삼’, ‘황초의’라 하였다. 형태는 세 번의 변화를 보인다. 제1시기(1795~1827년)에는 겹옷이고, 겉의 배자깃을 단 옷과 안의 직령깃을 단 옷을 겹쳐 입었다. 제2시기(1829년)에는 홑옷만 입었다. 제3시기(1848~1892년)도 홑옷이고, 제2시기와 유사하지만 세부 형태만 약간 달라진다. 소재는 내내 황색 초(綃) 한 가지만 썼다. 춘앵전용 황초삼 명칭은 ‘황초삼’, ‘황초단삼’, ‘나삼’이라 하였다. 일반용과 같이 세 번의 형태 변화를 보인다. 제1시기(1828년)에는 무동이 춘앵무를 추고, 무동 복식을 입었다. 제2시기(1829년)부터 여령이 춘앵무를 추는데, 일반 여령용 황초삼과 같은 형태에 하피만 더해서 차별화했다. 제3시기(1848~1892년)에는 일반 여령용과 형태가 달라지는데, 소매가 길고 넓어져서 비구(臂韝)를 사용해 소매끝을 오므려서 갈무리했다. 또 ‘방령(方領)’이라는 장식물이 부착된다. 소재는 연습용과 본행사용을 차별화한다. 연습용은 초(綃)를 쓰고, 본행사용은 무늬가 있는 갑사(甲紗)를 쓰면서 ‘나삼’이라고도 불렀다. 선행연구에서는 이 무늬가 있는 갑사 소재의 ‘나삼’을 일반 여령용 황초삼의 명칭과 소재로도 이해했었는데, 이는 재고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영어초록

    Hwangcho-sam (黃綃衫) is a garment worn by Yeoryeong, a court dancer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performing Jeongjae (dance). It is divided into general Jeongjae Yeoryeong usage and Chunaengjeon Jeongjae Yeoryeong usag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leeve shape, length, component items, names, and materials.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form of these two Hwangcho-sam by period, focusing on Uigwe and picture data, which are records of court banquets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names of the general version of Hwangcho-sam were ‘Hwangcho-sam’, ‘Hwangcho-dan-sam’, and ‘Hwangcho-ui’. The shape shows three changes. In the 1st period (1795-1827), it was a double robe, and it was worn with a robe with a square collar worn on the outside and a robe with a straight collar worn inside. In the 2nd period (1829), it was a single robe with a square collar. The 3rd period (1848-1892) was also a single robe, similar to the second period, but only the details are slightly different. Only one material, the yellow color Cho (綃), was used throughout. The names of the Chunaengjeon version were ‘Hwangcho-sam’, ‘Hwangcho-dan-sam’, and ‘Na-sam’. It shows three shape changes like the general version. In the 1st period (1828), Mu-dong (child dancer) danced Chunaeng-mu and wore Mu-dong attire. From the second period (1829), Yeoryeong danced Chunaeng-mu, which was differentiated by adding only Hapi to the same form as Hwangcho-sam for general Yeoryeong. In the 3rd period (1848-1892), the form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version, especially since the sleeves became longer and wider, so a Bigu (臂韝) was used to close the ends of the sleeves. In addition, an ornament called ‘Bang-ryeong’ is attached. The material differentiates between practice use and primary event use. Cho (綃) was used for practice, and Gapsa (甲紗) with a pattern was used for the main event, also called ‘Na-sam’. In previous studies, the ‘Na-sam’ of this patterned Gapsa material was also understood as the name and material for the general version. Still, it was confirmed that this needs to be re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복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