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업로드 2주 이내인 자료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울산지역 삼한시대 취락의 전개양상- 주거지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 in Ulsan Areas During the Three Hans Period - Focusing on the dwelling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3.01
38P 미리보기
울산지역 삼한시대 취락의 전개양상- 주거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남고고학 / 95호 / 43 ~ 80페이지
    · 저자명 : 김나영

    초록

    본고는 울산지역 삼한시대 취락을 광의적 측면에서 주거지, 지상식 건물지, 분묘 등의 기반시설을 검토한 후 각 시기별 취락의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취락의 시기는 문화 변동양상에 따라 크게 Ⅰ기~Ⅳ기로 구분된다. Ⅰ기는 원형점토대토기를 표지로 하며, 울산지역에 삼한시대 취락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울산지역에 유이민들이 유입 및 이주해 옴에 따라 기존 재지민의 문화와 공존 및 융합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주거지의 형태는 주로 청동기시대 울산식 주거지에서 변형된 형태로 평면 방형계에 무시설식노시설을 갖춘 단순한 구조를 보인다. 분묘는 석곽묘, 옹관묘 등 청동기시대부터 사용된 묘제 문화가 지속된다. Ⅱ기는 삼각형점토대토기를 표지로 하며, 주거 형태와 수혈, 분묘 등의 취락 양상은 Ⅰ기와 유사하다. 그리고 소규모 단위의 취락이 계속해서 형성되며 정착해 나간다.
    Ⅲ기는 전기와질토기를 표지로 하며, 취락의 규모가 앞 시기에 비해 확대·변동되는 양상이 간취된다. 주거지는 앞 시기 방형계 주거지가 지속되면서 새롭게 부뚜막 및 온돌시설을 갖춘 평면 원형계 주거지가 출현한다. 분묘는 수장묘의 단독 조성과 그 하위 분묘군의 군집 축조의 양상이 보인다. 이 시기부터 울산지역에 삼한 소국이 성립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성립의 계기는 유이민들의 유입과 달천광산의 철광석 채굴(채광)에 있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Ⅳ기는 후기와질토기를 표지로 하며, 주거지는 부뚜막 및 온돌시설을 갖춘 평면 원형계 주거지가 지속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주변지역과 교류양상을 보여주는 마한계4주식 주거지와 중도식 주거지가 확인된다. 울산지역은 대체로 3세기 중·후엽부터 취락의 기능분화, 대규모 중심취락의 조성, 대형 분묘군의 조성 등 많은 문화변동이 있었으며, 주변 지역과도 문화·경제적으로 다양한 교류와 영향 등을 받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After examining the settlements of the Samhan period in Ulsan from the wide-ranging area, the foundation facilities such as housing, ground-based buildings, and tombs were examined, the development phase of the housing and settlements in each period was examined. The period of settlement is largely divided into phases I to IV according to cultural changes. The I period, the cover is the stage in which Pottery with Round Clay Band Rim iand forms the Three Hans settlement of the Ulsan region. The pattern of coexistence and fusion with the existing residents' culture is confirmed by the continuous influx of immigrants to the Ulsan area. In period II, the cover is Triangular-shape Pottery with Clay Stripes, and the settlement surfaces such as residential forms and transfusions and tombs are similar to the I period, and small-scale settlements continue to be formed and settled.
    In period Ⅲ, the cover is early Soft Grayish Pottery and the scale of the settlements expand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changes are observed. As for the dwellings, the square-type dwellings of the previous peri- od will continue, and a new flat, circular-type dwelling equipped with a stove and ondol facilities were appear. In IV period, the cover is the late Soft Grayish Pottery, many cultural changes such as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the village, creation of large settlement, and creation of large tombs appear through the partially confirmed mate- rials, it is thought that the surrounding area was also affected by various cultural and economic exchan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4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