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메노모리호슈(雨森芳洲)의 언어관과 국제교류 (International exchange and linguistic view of AmenomoriHosyu)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3.11
29P 미리보기
아메노모리호슈(雨森芳洲)의 언어관과 국제교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57호 / 109 ~ 137페이지
    · 저자명 : 이길원

    초록

    21세기 국제화․세계화의 증대와 함께 동아시아에서 한국과 일본은 보다 다양하고 긴밀한 인적 문화적 교류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런 흐름에 앞서 17세기에서 18세기에 걸쳐서 일본의 유학자이며 외교관으로서 확실한 자리매김을 하며 조선과 일본 사이에서 뛰어난 선린교류의 활약상을 보였던 아메노모리호슈(雨森芳洲)의 ‘성신외교(誠信外交)’는 지금에도 대단히 유효한 시대정신으로 평가된다.
    본고에서는 ‘성신외교’의 한복판에서 아메노모리호슈가 직․간접으로 관여한 일본인으로서 조선인의 일본어학습 어휘집인 『왜어유해(倭語類解)』(18세기 말기에 간행된 일본어 어휘집)와 일본인의 조선어학습서 『교린수지(交隣須知)』(초간본은 1880년에 완성) 등의 저서를 통하여 그의 언어관과 당시의 시대적 문화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린제성(交隣提醒)』(국제관계서) 등의 저서와 기록물을 검토하여 국제교류에 관한 그의 사상적 원칙과 실천에 대해서도 확인하고 검토할 수 있었다.
    아메노모리호슈의 언어관으로는 첫째, 언어의 보편성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으며 구조가 다른 언어라 하더라도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가치는 동등하다고 하였다. 둘째, 문자와 표기에 관하여 한자(漢字)의 우월성을 반대하였고, 한글에 대한 업신여김도 비판하였다. 셋째, 통역이란 말의 기술자라는 역할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문과 교양을 겸비하고 상대 나라의 사정과 관습 등에 능해야 한다고 하였다. 넷째, 상대국의 언어를 아는 것이 중요하기에 언어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끊임없는 언어학습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국제교류에서 중요한 기본적인 인식은 첫째, 상대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려는 노력으로 공생해야 함이 가장 기본이라고 주장하였다. 둘째, 상대에 대한 문화의 차이를 인정하고 일원적 가치관을 벗어나 다원적 가치관을 용인하는 세계관을 이상향으로 삼았다.
    이러한 언어관과 인식은 보편적 인간성의 척도로 각 민족의 독자적인 가치를 평가해야 한다는 내용과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본고를 통해 다양한 문화의 사람들이 교류하며 지낼 수밖에 없는 현 시대의 국제화 사회에서 어떻게 언어문화소통으로 이해하고 협력하는 국제교류가 이뤄져야할 것인지에 대한 교훈을 얻게 된 것이 큰 수확이었다고 생각한다.
    아메노모리호슈는 그 당시의 흔치 않은 조선어와 중국어를 이해하고 구사했던 트리링궐(trilingual)의 능력자로서 조선문화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배경으로 조선과 일본을 잇는 성심외교관으로 활약했음을 자료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아메노모리호슈의 언어관과 국제교류에 관한 사상은 21세기의 화두로 떠오른 문화교류와 시민교류라는 풀뿌리 교류의 측면에서도 대단히 유효한 내용임에 틀림없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Two East Asian countries, Korea and Japan are in the critical phase of establishing personal and cultural exchange in the wak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Amenomori Hoshu (1688–1755), a diplomat and confucian scholar from the 17th to 18th century, who played an active role in building a good-neighbor relationship between the Chosun Dynasty and Japan has been appreciated as a great spirit of the contemporary times with his “sincerity and faith diplomacy.”This paper examines the perception on language and culture of the time through the Japanese study material in Chosun, Wagoruikai (Japanese wordbook published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Japan’s Chosun language study book Korinsuchi (the manuscript was completed in 1880), both of which Amerinomori Hoshu involved in directly and indirectly in the middle of his “sincerity and faith diplomacy.” Also this paper verifies his idealogical principles and practices regarding international exchange by examining books and records such as Korinteisei (book of international relationship).
    Ameinomori Hoshu’s view on language is, first of all, that he had a firm belief in the universality of language. He explained that languages with different structures bear an equal value as a communication tool. Second, he opposed to the notion of superiority of the Chinese character and criticized scorn for the Korean character Hangul. Third, he claimed that an interpreter should not just be a technician of languages but an expert of the other country’s current affairs and culture by being academic and sophisticated. Fourth, since he recognized that the importance of knowing other country's language, Ameinomori Hoshu emphasized the value of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continuos language learning.
    He opined that some fundamental perceptions of international exchange are: first, we should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and respect the other country’s culture so that both countries peacefully coexist; second, he recognized the difference of cultures and suggested embracing diversity rather than insisting on a single value.
    It is in line with the idea that each ethnic group should be viewed by a universal humanity standard.
    In the globalized world where people inevitably live with other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e paper provides views on international exchange that communication of language and culture can lead to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merinomori Hoshu as a rare trilingual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at the time, this paper finds that he played an active role as a sincerity and faith diplomat who bridged Chosun and Japan with his broad knowledge about the Korean culture.
    This paper confirms that Amerinomori Hoshu's views on language and international exchanges carries important implications on the so-called grass root exchange of the 21st century through cultural exchanges and exchanges by private sec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