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3·1운동 100주년 기념 기획논문> 노래에 담긴 3·1운동의 기억과 기념: 《삼일운동의 노래》, 《삼일절가》, 《삼일절 노래》의 비교를 통해 (Memory and Commemoration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Memorial Song)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8.12
41P 미리보기
&lt;3·1운동 100주년 기념 기획논문&gt; 노래에 담긴 3·1운동의 기억과 기념: 《삼일운동의 노래》, 《삼일절가》, 《삼일절 노래》의 비교를 통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이화음악논집 / 22권 / 4호 / 7 ~ 47페이지
    · 저자명 : 장유정, 신혜승

    초록

    본 논문은 3·1절 기념 노래인 《삼일운동의 노래》, 《삼일절가》, 《삼일절 노래》를 탄생 배경, 노랫말 분석, 음악 분석을 통해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1946년 3·1절 기념식에서 사용된 《삼일운동의 노래》와 《삼일절가》를 처음으로 소개하고 분석했다는 것에 본고의 의의가 있다.
    Ⅱ장에서는 세 노래의 탄생 배경을 당시의 사료를 바탕으로 소개하였다. 자유신문사에서 선정한 《삼일운동의 노래》는 1946년 3월 1일 덕수궁에서 서울의 여학교 학생들이 합창으로 불러 관중들의 커다란 호응을 받았다. 《삼일절가》는 1946년 3월 1일 서울운동장에서 개최된 기념식에서 불린 것으로 추정하나 방증 자료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삼일절 노래》는 일부 “1946년에 나왔다”고 한 것과 달리, 정부에서 1949년에 공개 모집해서 1950년에 3·1절 기념 노래로 제정한 것이라는 것을 명확히 했다.
    Ⅲ장에서는 세 노래의 노랫말이 지닌 특징을 언급하였다. 《삼일운동의 노래》, 《삼일절가》, 《삼일절 노래》의 작사는 각각 당대 유명 인사였던 월탄 박종화, 안서 김억, 위당 정인보가 하였다. 그들의 면면을 언급하는 한편, 노랫말에 사용한 어휘와 주제, 수사 기법 등을 통해 《삼일운동의 노래》에서 《삼일절가》로 오면서 서사보다 서정이 우세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높다는 것을 밝혔다.
    Ⅳ장에서는 1950년 국가주도로 《삼일절 노래》가 3·1절 기념곡으로 자리 잡을 때까지의 상황을, 《삼일운동의 노래》, 《삼일절가》에 대한 음악분석과 이에 대한 신문 기사 정보를 통해 새롭게 조망해 보았다. 이 노래들은 3·1운동의 정신을 다양한 방식으로 전유하며 노래하고 있다. 각 노래들은 민족의 결연한 의지와 자유에의 선언, 그것이 한마음, 한뜻으로 기리어지기를, 그리고 길이 빛내어 지기를 음악의 다양한 방식에 담아 선포하고 있다. 다가오는 2019년 3·1운동 백주년을 앞두고 《삼일운동의 노래》와 《삼일절가》도 함께 불리고 기억되길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Song of the Samil Movement, Samiljeolga, and Samiljeol Song which are commemorative songs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background of birth, lyrics and music.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that Song of the Samil Movement and Samiljeolga, which were used at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ay ceremony in 1946, were first introduced and analyzed in this paper.
    Chapter II introduced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three songs based on historical data of the time. Song of the Samil Movement was sung in chorus by female students at Deoksugung Palace in Seoul on March 1, 1946. Samiljeolga is presumed to have been sung at a ceremony at Seoul Stadium on March 1, 1946. Unlike the opinion that Samiljeol Song was released in 1946, the government made it clear that it was a public recruitment drive in 1949 and instituted as a March 1st anniversary song in 1950.
    Chapter Ⅲ refer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songs. Song of the Samil Movement, Samiljeolga, and Samiljeol Song were played by Jong-hwa Park, Eok Kim, and In-bo Jeong, who were famous figures of the time respectively.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ocabulary, themes, and rhetorics used in the lyrics along with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each figure,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songs became more lyrical than narrative through the transition from Song of the Samil Movement to Samiljeolga.
    This paper analyzed Song of the Samil Movement, Samiljeolga and Samiljeol Song. Then, it reconstructed the 1946-1950 situation though 3·1 memorial songs along with newspaper articles. These songs possess the spirit of 3·1 movement in various ways exclusively. Each song declares freedom and eternity in various ways. Through these songs, 3·1 spirits will be remembered consistently, and be celebrated. In anticipation of the centennial anniversary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2019, Song of the Samil Movement by Soon Ae Kim and Samiljeolga by Heung Ryul Lee as well hope to be sung and rememb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