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모종삼의 주희 비판과 그에 대한 재평가 (The Recritic of Mo Zong San’s Criticism of Zhu X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0.08
27P 미리보기
모종삼의 주희 비판과 그에 대한 재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 / 37호 / 67 ~ 93페이지
    · 저자명 : 조남호

    초록

    이 글은 주희에 대한 모종삼의 견해를 주로 살펴보고 그것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를 제시하고자 한다. 모종삼은 거의 모든 부분에서 주희를 비판하고 있다. 주희를 별자로 인정한다고 하지만 내용을 보면 부정하고 있는 셈이다. 필자가 보기에 모종삼은 역시 근대화론자이다. 중국이 처한 근현대 상황을 볼 때, 중국은 서구 열강에 뒤쳐졌다. 중국대 서구를 주희대 칸트로 보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칸트적인 사고에 비추어 주희적인사고를 비판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렇다고 완전히 칸트를 인정한 것은 아니다. 칸트를 넘어서는 사고가 중국에 있다는 것으로 근대를 넘어서고자한다. 이는 양명학에서 논의가 된다. 이러한 점은 모종삼의 근대를 넘어서려는 눈물겨운 노력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다. 칸트는 어쨌거나 인식론적인 사고틀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덕적인 사고를 하였지만 부족한 것으로 간주된다. 어쨌든 그에게 주희는 전근대적인 사고였던 것이다. 특히 칸트적인 입장에서 볼 때, 자율적인 도덕이 아니라 타율적인 사고였던 것이다. 여기에 근대를 벗어나는 사고입장에서 볼때, 주희의 사고는 순수하게 인식론적인 사고였던 것이다. 인식론적이고 타율적인 사고라는 틀로 주희를 묶어두려는 것이다. 이는 주희에게도 정당한평가가 아니다. 주희는 근대적인 사고로 규정할 수 없다. 오히려 탈 근대적인 사고로 이해할 수 있는 측면이 있다. 모종삼에게는 주희의 원래 사고는 의미가 없다. 철저한 비판만이 필요했을 뿐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writer presents critical opinions against Mo Zong San's view of Zhu Xi. Mo Zong San criticised Zhu Xi in almost all areas. He recognizes Zhu Xi as a different person;however he denys Zhu Xi in the contents. The writer thought Mo Zong San was modernized. (This sentence seems to come abruptly after the previous sentence and seems a bit out of place.)He thought that China was behind the western world powers in modern times and compared China to the West as Zhu Xi to Kant.
    Then, with Kant's thought, he criticized Zhu Xi. However, he did not recognize Kant completely. He tried to go over modernism insisting there was the thought over Kant. That is Yang Ming. (I am not sure what this means.) This is a result of Mo Zong San's painstaking effort which cross over modernism(I do not understand what is meant by this.). He thought Kant could not free himself from the theory of epistemology.
    In this aspect, Kant thought morally, but there was a lack of such moral thought. At any rate, to him, Zhu Xi showed a premodern way of thinking. Especially in Kant's stance, Zhu Xi's morals were not self-regulating but were heteronomic thoughts. In the stance of crossing over modernism, Zhu Xi's thought was purely a theory of epistem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