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진단의 내단이론과 삼교회통론 (The Theory of Chen tuan's Internal Alchemy and Intermixture of Taoism, Buddhism and Neo-Confucianism)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1.03
34P 미리보기
진단의 내단이론과 삼교회통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31호 / 53 ~ 86페이지
    · 저자명 : 김경수

    초록

    진단은 도교 내단이론의 정립자이며, 북송 이래 사상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남긴 인물이다. 그는 다른 종교의 장점을 자신의 이론체계에 받아들이고 있음을 분명히 선언하고 있다. 그는 도교 수련과정의 논리적 부족함을 메우기 위해 유교의 易學을 도교 秘傳의 역학으로 대치하고, 육신과 정신의 이중구조를 통합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선불교의 마음수행법을 자신의 체계 속으로 끌어들였다. 진단의 내단이론은 精氣神의 개념에 기반하여 ‘연정화기’ ‘연기화신’ ‘연신환허’의 단계로 수련하는 도식이다. 진단이 말하는 내단수련이란, ‘도교 방식으로 해석한 『주역』의 근본원리에 바탕을 두고서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禪의 수행으로부터 시작하여, 그 고요함의 끝에서 온갖 변화에 신묘하게 통할 수 있고 지혜가 충만한 상태에 이르게 되면, 미묘한 精의 흐름을 간취하여 이것을 기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거쳐서 결국 복귀무극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그는 「무극도」를 그려서 표현했다.
    동양철학은 인간을 ‘현상적 존재’와 ‘본원적 존재’로 구분한다. 이러한 ‘존재 규정’으로부터 수도론의 논리가 성립된다. ‘자아’ 또는 ‘자기’라는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서 ‘현상적 존재’로부터 ‘본원적 존재’로의 회귀 내지는 도약 방법이 결정된다. 도교 내단이론의 정립자라 할 수 있는 진단은 이런 측면에서 독특한 내단수련론과 삼교회통론의 체계를 확립한 인물이다. 오늘날은 ‘자아상실의 시대’ 또는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생기는 ‘난치병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자아의 회복과 건강한 삶을 위해서 몸과 마음을 연결짓는 진단의 수련론에 대한 검토와, 여기에 기초한 새로운 수련법의 모색은 여전히 의미 있는 일이다.

    영어초록

    Taoism exercised its influence and has made much progress apparently under the aegis of the Tang dynasty. But since the external alchemy, a traditional way of eternal life that they have pursued, met the limitation, they were placed in a situation where they needed to seek a new discipline. From this period to the early North Song dynasty, three religions have established the unique theoretical systems of their own theory of ascetic practices. They showed their own unique formats as follows. Neo-Confucianism established the theory of moral training, Buddhism did the theory of ascetic practices and Taoism had theory of discipline. By this time, a person who claimed the Intermixture of Three Religions composed the new system of theory of ascetic practice by taking advantage of other religions and putting them into his own view.
    Chen tuan established the theory of internal alchemy of Taoism and was the most influential figure in the world of thought since North Song dynasty. He clearly declared that he accepted the merits of other religions in his theory. He added I Ching of Confucianism in I Ching of secret of Taoism to stop the logical gaps during the process of disciplines in Taoism and took ascetic practices on mind of Buddhism into his system while he sought a way to integrate the dual structure of body and mind. The theory of Chen tuan’s internal alchemy was training schema with stages of ‘YeonJeongHwaGi’, ‘YeonGiHwaSin’, and ‘YeonSinHwanHeo’ based on the concepts of vital, energy and spirit. The internal alchemy practice that Chen tuan was saying started from the practice of Zen to keep the mind calm with the basis of fundamental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of book of change according to Taoism. When a person reached the state to be in concert with all changes at the end of the silence and be full of wisdoms, he finally returned to the state of BokGwiMuGeuk by taking the flow of subtle mind and transforming it into energy. He expressed this process by drawing ‘MuGeukDo’.
    Oriental philosophy categorized human into ‘phenomenal existence’ and ‘original existence’. The logic of theory of ascetic practice has been established from these ‘category of existence’. It would be determined whether it will return to ‘original existence’ or be stepped up from ‘phenomenal existence’ according to how the concept of ‘self’ or ‘I’ was made. Chen tuan who established the theory of internal alchemy in Taoism has established the unique theory of internal alchemy discipline and system of intermixture of three religions in this aspect. Today is called ‘era of self-loss’ or ‘era of incurable diseases’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It’s still meaningful to review the theory of discipline of Chen tuan’s connecting the body and the soul to heal the self, and keep life healthy and pursue the new way of discipline based on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