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蔘), 산신도와 불교 신앙 풍습과의 만남 (The Ginseng in Korean Paintings of the Mountain Spirit (Sanshin) Found in Buddhist Shrines and Its Relation to Buddhist Religious Custom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5.03
26P 미리보기
삼(蔘), 산신도와 불교 신앙 풍습과의 만남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인삼학회
    · 수록지 정보 : 인삼문화 / 7권 / 1호 / 43 ~ 68페이지
    · 저자명 : 임은정

    초록

    우리 민족과 같이 시작한 산신신앙은 신라 시대 불교와 만나 서로 보완하며 공존하는 관계로 발전하여, 불교 화엄신중 39위(位) 가운데 주산신(主山神)이 되어정당성을 인정받았다. 이를 근거로 산신은 조선 후기에 불교가 민속신과 강하게결합할 때 산신각이라는 단독 전각까지 얻게 되었다. 산신각은 대웅전 뒤편에 보통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건립하는데, 산신도를 대웅전 안쪽에 봉안해 무병장수와 재물을 기복(祈福)하는 기능으로도 사용하였다. 불교 교단은 임진왜란과병자호란 이후 민간에서 싹튼 사회·경제적 변화로 불자들이 원하는 신앙적 수요를 받아들이면서 본격적으로 산신도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불교 교단에서는 사찰을 외호하고 불법을 수호하며 선(善)을 행하는 사람들을수호하는 선신(善神)인 산신을 소상(塑像)으로 봉안하기도 하고, 그림으로 봉안하기도 하는데, 산신도는 민화적 요소를 담고 있는 불화로 현세 무병장수를 염원하는 당시 시대상을 반영한다. 전통적인 불화는 경전에 근거하거나 고초본(古草本)을 모사해 제작하는데 산신도는 화사 개인이 생각한 독창성을 담아 구도, 색상, 산신(山神) 등을 다르게 표현한다. 산신도에 등장하는 영험하고 신통한 산신은 선풍도골(仙風道骨) 모습으로 깊은 산 그윽한 골짜기인 묘산보봉(妙山輔峰)의 넓은 반석 위에 착하고 순하게 길들인 호랑이를 거느리고 앉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산신과 동자는 주로 길상을 상징하는 지물을 손에 들고 있는데 특이하게 삼(蔘)을 든 예가 있다. 삼(蔘)은 산신이 심마니들에게 점지해준다는 무병장수와 생산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한국 불로약을 상징하는데 삼(蔘)을 그린 사찰 산신도는 귀한 도상으로 현세(現世) 기복적(祈福的) 삶을 표현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삼을 그린 사찰 산신도 12점과 신중탱화 1점을 조사했는데 이작품들은 조성 시기가 오래되지 않았다. 세종 장군산 보광사에 있는 삼을 그린산신도는 1944년에 조성한 것이다. 산신도 12점 가운데 동자가 삼을 들고 있는 산신도는 4점, 산신이 삼을 들고 있는 산신도는 3점, 동자와 산신이 삼을 들고 있는산신도가 1점, 산신이 삼을 들고 있는 산신상(山神像) 4점, 산신이 삼을 들고 있는 신중탱화 1점이 있다. 산신을 분류해 보면, 여산신은 1점, 부부 산신은 2점, 선녀형 산신은 1점, 남산신이 9점으로 산신도에는 남산신이 많이 등장한다.

    영어초록

    The “Mountain Spirit” (山神) is worshipped in Korean folk religiosity as adeity protecting and governing mountains. Depictions of this spirit are usuallyfound in Buddhist temples, often in a separate shrine on the temple precincts.
    In particular, the layity prayed to the Mountain Spirit for children, good healthand longevity. The mountain spirit was held to control good and bad fortune.
    However, the Japanese invasions (1592-1598) and the Manchu invasion(1636) brought significant social and economic changes. Thereafter, in thelate Joseon-Dynasty period, lay religiousity gained a more eminent role inKorean Buddhism, and the Mountain Spirit came to be venerated in a separate“Mountain-Deity Shrine (sansin-gak, 山神閣), typically located behind themain hall of a Buddhist temple, featuring a painting, statue, or wood relief ofthe deity. A painting of the Mountain Spirit is often venereated inside the mainhall, both in temples that have a separate sansin-gak and in those that don’t.
    In the elements of the Buddhist Mountain Spirit depictions, court paintingelements coexist with folk temple painting elements, an especially about insymbols for longevity without illness. Traditional Buddhist paintings are basedon the descriptions of the deities in sutras or treatises, often reproducing formerpaintings. Mountain-Spirit depictions, however, express the artist’s individualcreativity in composition, color, symbols and arrangement. The miraculous andpowerful Mountain Spirit appears as a sage-like figure sitting on a wide rockin a deep mountain valley, often a compained by a tamed tiger. The MountainSpirit and his child attendants usually hold auspicious symbols such as peaches, peonies, and herbs of immortality. However, there are also unique exampleswhere ginseng is held. Ginseng, symbolizing longevity and health, is believedto be granted by the Mountain Spirit to wild ginseng diggers and is considereda quintessential Korean elixir of longevity. In this article, the 13 Mountain Spiritpaintings showing ginseng have been identified. Among them, four depictan attendant child holding ginseng, four portray the Mountain Spirit holdingginseng, and four represent the Mountain Spirit holding a mountain spiritstatue. As for the depiction of the Mountain Spirit figure, there is one paintingof a female Mountain Spirit, two of a Mountain Spirit married couple, and onedepicting the Mountain Spirit in the form of a celestial maiden. The remainingnine paintings depict the Mountain Spirit in his usual male for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