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 남원 지역 향촌사대부의 삶과 의식지향: 월암(月巖) 최일하(崔一河)를 중심으로 (The Life and Consciousness Orientation of the Local Gentry in the Namwon Regio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Focused on Wolam(月巖) Choi Il-ha(崔一河))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3.08
27P 미리보기
조선 후기 남원 지역 향촌사대부의 삶과 의식지향: 월암(月巖) 최일하(崔一河)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59권 / 5 ~ 31페이지
    · 저자명 : 이상우

    초록

    본고는 월암(月巖) 최일하(崔一河, 1762~1840)가 조선 후기 남원 지역의 향촌사대부로서 어떤 삶을 살았으며, 그 삶의 근간인 의식 지향의 연원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17세기 후반 이래 서울과 그 주변 도시의 경제적인 번화함과 동질적 사대부집단의 문화적 활력은 기타 지역의 그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만큼 상당한 것이었다. 이들은 인맥과 학맥으로 연결되어 학문과 문학의 커다란 영역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소위 이들 주류에 포함되지 않은 수많은 비주류 사대부, 그 중에서도 특히 서울과 근기(近畿)가 아닌 향촌의 경우 그 격차는 현실적으로 더욱 벌어질 수밖에 없다.
    최일하 역시 중앙에 진출하지 못한 향촌사대부 중 한 명으로, 향촌사대부의 입장에서 그의 삶을 조명하는 작업은 당시 향촌에서 사대부들의 문학적‧문화적 동향, 서울과 근기 외에 대다수의 일반적 사대부의 삶 등을 파악하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문학사에서 흔히 언급되는 소위 ‘문제적’ 인물은 아닐지 몰라도 주류 사대부들을 제외한 대다수의 범상한 사대부들의 ‘일상’을 밝히고자 한다.
    향촌사대부로서 그의 삶은 지역공동체의 교화에 대한 의지로 갈음할 수 있다. 그는 풍속의 회복을 위한 방법으로 후학들에 대한 교육을 강조했으며, 이를 위해서는 자신을 포함한 부로(父老)들의 역할이 중요함을 역설했다. 그가 말한 부로들은 관리들이 아닌 자신과 같은 향촌사대부일 것이다. 또한 풍속 회복을 위한 방안으로는 복고(復古)를 제시하며, 전현(前賢)들의 자취를 살피고, 유풍(遺風)을 중시했다.
    이러한 지역공동체의 교화를 위한 일련의 제안들은 비록 출사를 통해 정치적으로 치민(治民)할 수는 없는 상황에서 스스로를 사대부이자 유자(儒者)로서 존재할 수 있게 해주는 명분이자 원동력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관(官)에서의 관점이 아닌 일상에서 보다 핍진하게 풍속을 체감할 수 있었던 입장에서 더욱 책임감을 느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향촌사대부로서의 정체성과 의식지향의 발로는 부친인 최곤의 영향이 컸다. 최곤의 정치적 사상의 핵심으로 보이는 소회 8조 중 제1조 풍속을 바르게 하라[正風俗]와 제2조 학교를 일으켜라[興學校]는 최일하가 평생 남원에서 보였던 행적들과 직결되며, 그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Joseon period in the Namwon region, with a focus on delving into the consciousness direction underpinnings that underlay his existence.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the economic and cultural dynamism of the elite class in Seoul and its environs stood in stark contrast to other regions. The elite forged extensive networks based on social affiliations and educational backgrounds, establishing a flourishing domain of erudition and literary expression. Conversely, numerous non-elite landlords, particularly those in rural settings, found themselves excluded from this mainstream cultural sphere, leading to a pronounced divergence between these two social strata.
    Choi Il-ha(崔一河), as one of the rural landlords who failed to attain recognition at the central level, assumes a crucial role in elucidating the literary and cultural trends of rural landlords during that era and shedding light on the quotidian experiences of the majority of ordinary landlords residing beyond Seoul and its vicinity. While he may not emerge as a "contentious" figure in the annals of literary history, an investigation into his life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everyday realities of typical landlords, distinct from the elite echelon.
    As a rural landlord, Choi Il-ha's life can be interpreted as being driven by a resolute commitment to enlightening the local community. He accentuated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as a means of revitalizing traditional customs and values. To this end, he advocated the pivotal role played by the community's elders, encompassing individuals like himself, over reliance on government officials. Additionally, he proposed a return to past practices as a mechanism for reviving cherished traditions, examining the precedents set by esteemed sages, and placing a premium on the preservation of age-old customs.
    These proposals aimed at communal enlightenment conferred upon him the moral justification and impetus to embody the roles of both landlord and Confucian scholar, even in the absence of direct political power through governmental service. His sense of responsibility was heightened as he keenl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upholding proper customs in everyday life, transcending a mere official standpoint.
    Choi Il-ha's identity as a rural landlord and the roots of his consciousness direction can be traced back to the influence of his father, Choi Gon. The core political ideals espoused by his father, as evident in the first and second articles of the Thoughts 8 Articles, namely "Uphold Proper Customs" and "Establish Schools," appear to have significantly shaped Choi Il-ha's life and formed the bedrock of his philosophical convictions throughout his lifetime, as exemplified by his actions and conduct in Namw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