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수요자 중심 2030 QoLT(삶의 질 기술) 제품&서비스 디자인 전략 및 미래 비전 시나리오 개발 (Developing a 2030 Quality of Life Technology(QoLT) Product and Service Design Strategy with Future Vision Scenario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2.02
39P 미리보기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수요자 중심 2030 QoLT(삶의 질 기술) 제품&서비스 디자인 전략 및 미래 비전 시나리오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디자인학연구 / 35권 / 1호 / 151 ~ 189페이지
    · 저자명 : 홍희수, 구유리

    초록

    연구배경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기술 진보와 장애인 및 노인 삶의 가치의 변화에 따라 미래에 그들의 니즈 충족을 위한 수요자 중심 연구의 필요가 높아졌다. 이에 본 연구는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2030년 QoLT 제품 및 서비스 디자인 전략과 이를 구현하는 아이디어 맵 및 미래 비전 시나리오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서비스 디자인 연구에 적합한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발견 단계에서는 QoLT와 수요자 관련 문헌 연구를, 정의 단계에서는 문헌을 바탕으로 수요자 중심의 QoLT 영역을 도출하였다. 발전 단계에서는 영역별 QoLT 사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분석하고, 수요자 유형별 관련 전문가들과 함께 코크리에이션 워크숍을 통해 디자인 아이디어를 개발하였다. 전달 단계에서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아이디어별 수요자의 중요도 인식 정도와 기술적 혁신성을 고려해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2차 심층 인터뷰를 통해 아이디어의 실질적 구현을 위한 수요자 관점의 인사이트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인과 노인을 위한 QoLT 제품 및 서비스 디자인 전략으로 ⅰ)기기-사용자 간 인터랙션, ⅱ)사용자 중심 디자인, ⅲ)서비스 체계화 및 확장의 세 가지를 도출하였다. 또한 수요자 유형별 전략을 세분화하고 이를 적용해 실제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활용 가능한 주요 QoLT 영역별 아이디어 맵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장애인과 노인의 미래 비전 시나리오를 가시적으로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수요자 생활상과 니즈 기반으로 QoLT 영역을 정립하고 QoLT 디자인 아이디어를 개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수요자와 QoLT 분야별 전문가의 다양한 인사이트를 분석하여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QoLT 디자인 전략과 아이디어 맵, 미래 비전 시나리오는 재활 보조기기 개발자나 연구자에게 QoLT 연구 및 활용의 아이디어와 방향성을 제안해주는 한편, 정책 입안자에게는 미래 조망과 수요자 중심 정책 수립의 근거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With the technological advanc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hanges in the value of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the need for user-centered research to meet their needs in the future has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the 2030 quality of life technology(QoLT) product and service design strategy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and the idea map and future vision scenarios to implement the strategy by using the service design methodolog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double diamond process suitable for service design research. In the discover stage, QoLT and user-related literature research were conducted. In the define stage, the user-centered QoLT areas were derived based on the literatures research. In the develop stage, the user interface of QoLT cases by areas was analyzed, and design ideas were developed through a co-creation workshop with experts related to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In the deliver stage, prioritie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user’s importance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In addition, the insights from the user’s perspective were derived for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ideas through second in-depth interviews.
    Results QoLT product and service design strategies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derived three concepts: device-user interaction, user-centered design, and service systematization and expansion. In addition, Strategies for each type of user were subdivided and applied to develop an idea map for each major QoLT area that can be used for actual product and service development. Based on this, a future vision scenarios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ere visually proposed.
    Conclusion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s the QoLT area based on life and needs of user and develops QoLT design ideas. In addition, various insights of users and experts in the field of QoLT are analyzed to present desig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QoLT design strategy, idea map, and future vision scenarios, are expected to suggest ideas and directions for QoLT research and utilization to developers or researchers of assistive devices, while providing policymakers with the basis for prospects and user-centered policy establish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