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조적 표준 항암 화학요법에 비한 자가조혈모세포 이식 유방암 환자 삶의 질 내용 비교 (Comparison of Trajectory of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High Risk Breast Cancer Undergoing Adjuvant Chemotherapy and Autogenous Bone Marrow Transplantation)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01.06
13P 미리보기
보조적 표준 항암 화학요법에 비한 자가조혈모세포 이식 유방암 환자 삶의 질 내용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종양간호학회
    · 수록지 정보 : Asian Oncology Nursing / 1권 / 1호 / 5 ~ 17페이지
    · 저자명 : 이은옥

    초록

    1. 결 론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 후 재발의 고 위험군으로 판정된 환자 중 표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군과 자가조혈모세포 이식을 받는 군과의 각각 다른 4 시점에서의 삶의 질을 총 9개월 동안 비교, 분석함으로써 항암화학요법과 자가조혈모세포 이식의 각 시기별로 어느 측면의 삶의 질에 더 중점적으로 간호중재 해야할 지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시계열 비교연구이다.
    본 연구는 1999년 4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시행되었으며 대상자는 서울시 3개 종합병원에서 유방절제술을 받고 액와 림프절 전이가 5개 이상이고 3기 이상인 환자로서 표준항암화학요법군 19명과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을 수행한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 4회까지 자료수집된 환자는 각각 12명과 9명이었다.
    연구도구는 Ferrell의 측정도구(Ferrell, Dow, Leigh, 1995)를 국문으로 번역하고 이를 영어로 다시 번역하여 검토한 다음 내용타당도 지수를 측정한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version 10.0으로 서술통계, Mann-Whitney U test, Friedman test와 multiple comparison 분석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환자들의 삶의 질을 시기별로 비교한 결과 표준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는 전반적으로 낮은 반면에 자가조혈모세포 이식술을 받은 환자는 이식 직후에 낮아졌다가 치료 종료 6개월 후에 완전히 회복하는 양상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치료 종료에서 멀어질수록 자가조혈모세포이식환자가 표준항암화학요법 환자들보다 삶의 질이 높았다.
    2. 치료 완료 시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삶의 질의 영역은 신체적 삶의 질이다.
    3. 치료시기에서 멀어질수록 신체적 삶의 질은 상승되고, 심리적 삶의 질은 가장 낮은 상태에 머물러 있다.
    4. 이 연구 결과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는 항암제 투여 전체 기간동안에 집중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고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자는 세포이식 직후에 집중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2. 제 언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고위험 유방암환자의 유방암 절제술 후 표준항암화학요법과 자가조혈모 세포이식을 받는 대상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의 방향과 실무적용에 있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1. 치료 종료 후 6개월 시점의 삶의 질을 치료전의 삶의 질과 함께 조사하여 치료과정에서의 삶의 질이 치료 전 단계로의 회복의 정도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2. 삶의 질이 저하되는 시점에서 환자에게 운동을 시도하면 삶의 질이 증가하는지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t is known that aggressive treatment of chemotherapy, radiation and autogen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is effective for prevention of recurrence in the high-risk breast cancer patients. It was assumed that this procedure takes a longer time and decreases the quality of life more than the standard adjuvant chemotherapy.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comparing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having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nd adjuvant chemotherapy. Most of the studies were focused on the quality of life in one point of time, such as only during the early treatment stage, only overall quality of life rather than specific dimensions of the quality of lif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wo different treatment patterns, adjuvant chemotherapy and autogen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2) to identify the mostly affected dimension and the periods of time affected by the treatment patterns; and 3) to identify the trajectories of quality of life in each treatment pattern.
    This is a time series design that measures 4 different points of times.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19 patients were placed in the chemotherapy group and 12 in the group of auto-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 inclusion criterion was the advanced disease stage of 3 or over with metastasis of more than 5 lymph nodes. The exclusion criteria were 1) anyone who has metastasis to other organ; 2) anyone who had psychological problems.
    Ferrell's Quality of Life Scale for Cancer Survivors 41 items on a 10 point scale was used. The QOL-CS includes 4 dimensions, which were labeled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The Cronbach's alpha of this scale was 0.89.
    Mann-Whitney U test and Friedman test were used to test each hypothesis.
    In comparison of the two groups, the quality of life of the bone marrow transplantation group dramatically increased at the 3rd and 6th month after transplantation, while the chemotherapy groups results stayed lower.

    The most affected dimension of the quality of life at the end of the treatment was the physical dimension. However, it and increased along with time, while the psychological dimension values remained low over the long-term period.
    Intensive nursing care is needed during the entire period of chemotherapy in all patients having chemotherapy, and is also required for right after cases of bone marrow transplan- 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sian Oncology Nursing”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