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로 이주한 한인 1, 2세대의 생애발달경험에 관한 재구성 연구: 삶의 전략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Biographical Development of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Korean Migrants to Germany: Centering around their Living Strategy)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7.08
26P 미리보기
독일로 이주한 한인 1, 2세대의 생애발달경험에 관한 재구성 연구: 삶의 전략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다문화와 평화 / 11권 / 2호 / 113 ~ 138페이지
    · 저자명 : 이효선, 유연숙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독일로 이주한 한인 1세대와 2세대의 생애발달경험을 통해 드러나는 삶의 전략을 재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각 사례의 생애사로부터 발견된 삶의 전략구조를 자원과 결핍 이론으로 숨겨진 의미를 심도 있게 탐색(해석)하는 ‘재구성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1세대들의 경우 그들의 개인적·사회적 자원의 결핍이 보다 나은 삶의 지향(미래 지향형)으로 이끄는 동력이 되어 기존의 편안함과 안정을 뒤로하고 낯선 장소로의 이주를 기꺼이 선택하게 하였으며 새로운 문화에서 그들의 삶을 개척해가는 생활양식을 형성하게끔 하였다. 반면 2세들은 1세대의 삶에 비하여 개인적·사회적 자원이 준비되어있음에도 오히려 자신의 생애발달에 있어 적극적이지 않거나 주어진 자원 안에 머무르며 안주하는 삶의 형태(현재 안주형)를 보였다. 부모세대로부터 주어진 한국문화와 실제 삶의 터전인 독일문화 사이에서의 갈등과 주류 문화에 속할 수 없다는 다름의 경험은 이들의 정체성 형성에 있어 한국인과 독일인 사이에 머무르게 하는 결핍의 요소로 작용되었다. 1세대와 2세대 모두 결핍으로부터 벗어나 더 나은 삶을 위한 선택을 하고 있지만, 1세대에게 결핍은 떠날 수 있는 용기와 새로운 것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내는 힘이 되어 개척하는 삶을 선택하도록 한 반면, 2세대가 갖는 정체감 형성에의 결핍요소는 안정적이고 익숙한 환경에 머무르는 삶을 선택함으로써 결핍된 감정을 상쇄하게끔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 사회에서 1세대와 2세대가 어떻게 문화적으로 적응하며 정체성을 형성해 가는지 각 세대의 가치관과 태도의 차이에 대한 이해를 도울 것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has reconstructed living strategies that showed through the biographical development experiences of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Korean migrants to Germany. To that end, the “reconstruction research method” was utilized to deeply explore (interpret) the latent meaning of living strategy structures from individual life histories of each case through resource theory and deprivation theory. As for the first generation, their individual and social resource deprivation became their motivation for a better life (future-oriented). Therefore, they willingly left the comfortable and secure life, moved to strange places, and formed a life style that pioneered their own life in a new cultural environment.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generation, though having more individual and social resources than the first generation, was not enthusiastic in their life development or tended to settle for the resources that were given to them (present-oriented). With regard to the second generation, the conflict between Korean culture from their parents and German culture from their home and the experience of difference that they cannot belonge to the mainstream culture worked as deprivation that forced them to stay in-between Koreans and Germans in terms of their identity formation. Both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have made choices to escape their deprivation for a better life: as for the first generation, their deprivation became their courage to move and their power to overcome the fear of a new environment, encouraging them to become pioneers of their lives; and as for the second generation, their deprivation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ir identity encouraged them to choose a life with security and a familiar environment, offsetting the deprivat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help to understand how the first and the second generations culturally adapt to a new environment and form their identity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which different values and attitudes the first and the second generation ha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다문화와 평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