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정시설 성 폭력 가해자의 재범 방지를 위한 좋은 삶 모델 프로그램 효과 연구: 질적 연구 접근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Good Life Model Program for Preventing Re-offense of Sexual Offenders’ in Correctional Facilities: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20.10
34P 미리보기
교정시설 성 폭력 가해자의 재범 방지를 위한 좋은 삶 모델 프로그램 효과 연구: 질적 연구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정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정복지연구 / 68호 / 129 ~ 162페이지
    · 저자명 : 유숙경, 김용섭, 이경원

    초록

    본 연구는 교정시설에 수감 중인 성폭력 가해자들의 재발 방지를 위한 좋은 삶 모델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A광역시 교정시절에 성폭력가해로 수감 중인 4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좋은 삶 모델의 프로그램 참여 전 정보수집에 대한 동의를 얻었으며 8회기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연구참여자들의 참여과정 중 작성한 소감문과 프로그램 종결 후에 작성한 소감문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는 하위주제와 이를 결집한 주제로 구성하였고 구성된 내용을 좋은 삶 모델의 목표인 사회적 자아존중감, 정서곤란, 강간통념, 분노표현의 4가지 범주에 재배열해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연구참여자들은 자신이 성폭력 범죄가 낮은 자아존중감과 정서 조절 곤란에서 비롯되었음을 인식하였다. 또한 여성을 몸과 성폭력에 대한 반성적 이해를 함으로써 성에 대한 전향적인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프로그램 참여과정을 통해 자신의 분노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분노와 감정 조절하는 방법을 익히고 이를 교정시설 내에서 훈련하였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성폭력 가해자들의 재범방지와 사회 재복귀를 위한 사회복지 차원에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영어초록

    It is a qualitative study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a good life model program.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onducted on 41 people who were imprisoned for sexual violence during the correction period of A Metropolitan City. We obtained consent for information collection before participating in a good life model program and collected data from comments prepared dur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tion process and statements prepared after the program was clo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data consisted of subtopics and a combination of them, and the contents were rearranged into four categories: social self-respect, emotional distress, rape, and anger expression, which are the goals of a good life model. To summarize the findings,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sexual violence crimes resulted from low self-respect and emotional difficulties. Also, by having a self-reflection understanding of the body and sexual violence, women have a forward-looking perception of sex. He also recognized the need for a proper way to express his anger through the program participation process. They learned how to control their anger and emotions and trained them in correctional fac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discussed and made suggestions on social welfare for the prevention of repeat offenses and the return of sexual offenders to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